학술논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이용수 771
- 영문명
- Latent Profile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the Effect of Relevant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백예은(Baek, Yeheun) 정혜원(Chung, Hyewon)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275~30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의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학생 개인, 부모, 학교 생활 및 교사 변인이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교육청 교육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하는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자료의 중학교 3학년에 해당되는 초4 패널의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3단계 접근법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낮은 학업성취도-낮은 진로성숙도-낮은 공동체의식’, ‘중간 학업성취도-낮은 진로성숙도-중간 공동체의식’, ‘높은 학업성취도-높은 진로성숙도-높은 공동체의식’ 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한 결과, 학업적 효능감, 수업 방식, 자유학년제 만족도, 교사의 ICT 활용정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다양한 발달의 측면(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을 고려하여 분류된 집단의 특징을 확인하고 집단 분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also to explore the impact of relevant factors on the identified latent profiles. For this propose, a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a three-step approach was applied to the sixth band of the elementary 4 panel (9th grade)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inth grad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a) low academic achievement—low career maturity—low sense of community, (b) middle academic achievement—low career maturity—middle sense of community, and (c) high academic achievement—high career maturity—high sense of community.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relevant factors such as academic efficacy, teaching method, satisfaction with the free school year system, and the degree of the teacher's ICT us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cu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and exploring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the latent profiles in consideration of a variety of aspec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ommun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ment.
목차
I.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