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이용수 529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Grit, and Happi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Multiple-Group Analysis by Poverty Statu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민(Jungmin Lee) 반지윤(Jiyoon Ban)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부모지지, 교사지지, 또래지지)와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에 대한 빈곤 및 비빈곤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 중1 패널 3차년도(중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2,380명(남학생 1,274, 여학생 1,106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지지는 그릿을 부분매개하여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지지는 그릿을 완전매개하여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또래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는 그릿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결과에서 또래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경로에서만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또래지지로 인한 행복감은 빈곤 집단이 비빈곤 집단보다 약 1.8배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빈곤과 비빈곤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서 사회적 지지라는 변수의 유형에 따른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and peer support) and happines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Korea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middle school panel (third-grader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wer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and multiple-group analysis of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2,380 participants (1,274 male, 1,106 fema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parent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grit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Second, teacher support completely mediated grit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support and happines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were revealed only in the area of peer support on happiness. Specifically, the poverty group perceived happiness from peer support 1.8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non-poverty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ypes of social support by analyzing poverty and non-poverty groups separately, and suggests educational policy measures that can improve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