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이용수 167
- 영문명
- Exploration o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stribution Norm and Justice Sensitivity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권희경 이현주 안해정 박경호 최인희 장유진 최은아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243~27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컨조인트 방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분배 규범 척도와 자기보고식 공정 민감성 척도에 대한 471명의 중·고등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학교급 및 성별과 관계없이 보상(칭찬, 성적, 상금)의 분배 기준으로서 능력, 노력, 필요 순으로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 분석을 수행한 결과, 약 50%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분배에 있어서 필요와 노력에 비해 능력을 월등하게 중시하는 능력주의자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적용하는 분배 기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칭찬, 성적, 상금 모두의 경우 분배 기준으로 능력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의 경우에 능력에 가치를 두는 경향이 가장 강했으며, 칭찬의 경우에는 노력에, 상금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필요를 더 비중있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해자 공정 민감성이 높을 때 분배 대상의 능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존재하였으며, 가해자 공정 민감성이 높은 학생이 상대적으로 노력에 보다 높은 가치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scale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norm and justice sensitivity of 47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udents placed importance on ability, effort, and necessity, in that order, as the standard for distributing rewards regardless of school level or gender. Meanwhile, the latent profile analysis suggested that about 50% of the students were meritocracists, placing greater importance on ability than necessity and effort in distribution. (2)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distribution standard applied by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reward, ability wa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regardless of the type of reward. In the case of grades, the tendency to value ability was the strongest, and it was found that effort and need were considered relatively more heavily in the case of praise and prize money, respectively. (3) When a victim's justice sensitivity was high, there was a tendency to primarily consider ability as the distribution standard,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petrator's justice sensitivity predicts a relatively higher valuation on effort.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선행연구 분석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