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40
- 영문명
- Effects of an Online Program Designed to Enhance the Self-Transcendence Value on College Students’ Self-Transcendence Value and Prosocial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한수연(Han, Sooyeon) 박용한(Park, Yonghan)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59~8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초월 가치 증진 온라인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적용이 자기초월 가치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으로 변화된 자기초월 가치가 친사회적 행동 의도나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로 이어지는지 확인하여 가치의 역할과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28명(실험집단: 121명, 비교집단: 1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t-검증과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자기초월 가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 그 효과는 2개월 후에도 유지되었다. 구체적으로 박애주의-신뢰 가치, 박애주의-돌봄 가치, 보편주의-관용 가치, 보편주의-자연 가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이전보다 실험집단의 친사회적 행동 의도와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 효과도 2개월 후에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가치는 교육적 개입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타적 가치의 증진은 친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자기초월 가치의 증진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online program to enhance college students’ self-transcendence value and tested its effects on students’ value.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the role and importance of value by examining if the improved self-transcendence value would bring the changes in students’ prosocial behavior and intention. For these purposes, 228 college students (121 in the treatment group and 107 in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d the repeate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improved students’ self-transcendence value significantly and the effects sustained two months later. Specifically, th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those sub-values such as benevolence-dependability, benevolence-caring, universalism-tolerance, and universalism-nature. Second, the program improved students’ prosocial behavior intention and prosocial behavior, and the effects sustained two months later. These result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value would be able to change through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They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effort to improve students’ self-transcendence value at home and school, because those altruistic values would be connected to prosocial behavior.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Ⅲ. 자기초월 가치 증진 온라인프로그램 구성
Ⅳ. 연구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