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이용수 420
- 영문명
- Mindset,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Help-Seeking in Community College Students: Explor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주(Lee, Hye ju) 한천우(Han, Cheon-woo)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0권 제6호, 371~3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이 학습참여와 도움요청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를 위해 D 광역시 소재 전문대학의 재학생 44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 중 42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21을 사용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과 Amos 21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화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문 대학생의 학습참여와 도움요청 각각은 성장 마인드셋, 그릿과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전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은 도움요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습 참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연구 참여 학생들의 그릿은 성장 마인드셋과 학습참여 그리고 성장 마인드셋과 도움요청을 각각 성공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학습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참여와 도움요청 행동 촉진에 있어 성장 마인드셋과 그릿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습참여와 도움요청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개입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영문 초록
Given that a number of studies have documented the wide-ranging benefits of academic engagement and help-seeking, how they can be improved is an important issue in college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mindset, grit, academic engagement, and help-seeking of community college students. To do so, we conducted online surveys and analyzed data from 423 out of 441 community college students. We used SPSS 21 to perform pre-analyses and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1 to verify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The results from the pre-analyses show that all of the variables in this study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Results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growth mindset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lp-seeking, whereas it did not directly correlate with academic engagement. Second, gri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growth mindset and academic engagement, and between their growth mindset and help-seeking. These findings help us understand how growth mindset and grit can work as noncognitiv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and help-seeking, which leads to a path of academic succes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교육적 관여로서의 사교육 참여여부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확산 전후 비교
-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의 영향요인 분석
- 자기초월 가치 증진을 위한 온라인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초월 가치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 핵심역량에 대한 IPA 분석: 학생-교수의 관점 비교와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
-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그릿,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빈곤·비빈곤의 다중집단분석
-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에 기반한 현행 학교 수업의 비판적 탐색
-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교육 경험과 지역 적응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분배 규범 및 공정 민감성 탐색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진로성숙도,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영향 변인 탐색
-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사교육 참여와 활용 전략의 국가 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전문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그릿, 학습참여, 도움요청 간 구조적 관계
- 미래 사회변화에 따른 교사역할에 대한 초·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한국 대학의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