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이용수 27

영문명
A Study on Identifying as an Art Teacher through ‘The Reflexive Turn’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은영(Lee, Eun-You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31권, 23~4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5.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술 교사는 자신을 어떻게 규정하며 어떠한 종류의 교육적 행위를 하는가?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대한 미술 교사 정체성에 관한 담론 분석이자 기든스(A. Giddens), 무어(A. Moore)등이 제시한 ‘성찰적 전환’ 개념에 비추어 새로운 방향으로의 정체성 전환을 전망하고자 한 것이다. 더불어 이 시대의 미술 교사가 성찰적 전환을 통한 정체성 형성을 위해 주목해야 할 점을 찾고자 하였다. 교사 정체성에 관한 지배적 담론들에 비추어 볼 때 미술 교사의 정체성은 예술가의 아우라(aura)를 지닌 감화자로서의 교사, 학생들이 미술 기능을 매우 체계적으로 익히도록 알려주는 조형 기술자로서의 교사, 미술을 왜 가르치는지 반성하고 예술의 가치에 관해 고민하며 적용하는 반성가로서의 교사로 정리된다. 대부분의 미술 교사들은 지배적 담론들의 한 입장에 자신의 정체성을 고정시켜 왔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토대 위에서 미술 교사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새로운 전환이 가능하다. 교사 정체성은 공동체적 신념에 의해 획일적으로 주어지는 정체성이 아니라 개인의 ‘전기적 서사’에 근거한 성찰을 통해 능동적이고 다원화되어 나타나는 복수의 정체성을 지향한다. 여기에는 삶의 다양한 맥락과 조건이 관계하며 한 번 형성된 교사 정체성은 고정불변의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성찰적 전환’을 통해 계속적으로 자리매김하는 역동성을 지닌다. 미술 교사 정체성의 바람직한 ‘성찰적 전환’을 위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수업의 장(場), 현상 자체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으로 드러나고 형성되는지 교사 자신의 내러티브를 텍스트로 삼아 진지하게 성찰하는 방식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좋은 미술 교사’의 모습은 어느 한 지점에 좌초되지 않으며 교사 자신의 개인적 ‘자아’와 연관하여 끊임없이 정체성의 재구성을 실행하는 ’되어가는(becoming)‘ 과정 안에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ominant discourses about art teachers’ identity in terms of A. Moore’s teacher identity research and prospect the new identity turn through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According to Moore’s point of view, dominant discourse about art teachers’ identity summarizes in 3 images in which are charismatic art teacher who has artistic aura, competent craftsman who has highly art training skills, and reflective practitioners who can apply personal reflective thinking. Most art teachers have been conducted in one dominant discourse as an art teacher. However,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provides a whole new perspective for art teachers on identifying the good art teacher. A characterization of ‘The reflexive turn’ is described as “including the self in the reflexive process”. ‘The self’ in this case means not ‘Cartesian self’ but ‘self as a Text’ which is interpreted again at any time. In addition identifying as an art teacher is not fixed one dominant point at all. It can also be reconstructed based on a teacher’s sociocultural, individual contexts. This article presents the conception of “The reflexive turn” in terms of A. Moore & A. Giddens theory. Furthermore, this article puts forward 3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ostmodernism reflexive turn, in identifying the good Art teacher. The 3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good reflexive turn as an art teacher are realization of a teacher’s individual life conditions and teacher’s teaching narrative, research in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backgrounds, and the return to phenomenon of teaching itself in class experience. All of these things are essential to an art teacher s reflexive identity turn.

목차

Ⅰ. 서 론
Ⅱ. 미술 교사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
Ⅲ.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영(Lee, Eun-Young). (2012).‘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미술교육연구논총, 31 , 23-48

MLA

이은영(Lee, Eun-Young).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미술교육연구논총, 31.(2012): 2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