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앰비언트(Ambient) 광고지도 방법 모색
이용수 2
- 영문명
- Instructional Methods of Ambient advertising for visual communication in art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우민영(Woo, Min-Young) 류재만(Ryu. Jae-Ma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31권, 271~29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각적 이미지가 쏟아지는 현대사회에서 비평적 안목 및 판단 능력이 요구되는 가운데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시각문화에 대한 학습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전통적인 미술교육방식을 벗어나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광고는 시각문화와 관련한 미술과 수업의 소재로 많이 활용되는데 그 중에서 앰비언트 광고는 기존의 대중 매체와 온라인을 통한 광고와는 달리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매체에 주제를 창의적으로 접목시켜 참신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소비자와 상호작용하는 광고로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기 위해 앰비언트 광고를 활용한 수업모형을 구안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초등미술교육에서 앰비언트 광고 지도 방법을 모색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앰비언트의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고, 비판적 읽기 모델과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을 재구성하여 ‘앰비언트 광고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에 직접 적용하였다.
영문 초록
With increasing images in contemporary society, there is growing emphasis on visual culture studies in art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we need systematic and concret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for teaching visual communicative ability. Advertising is significant resource for teaching visual culture. Ambient advertising could be creative and unique tools for visual communication, as distinct from traditional advertising tools. It could integrate creative themes and methods to convey interactive messages with consumers.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develop, and adapt Ambient advertising to visu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art class. Therefore, this study seeks for teaching methods of Ambient advertising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ontext.
목차
Ⅰ. 서 론
Ⅱ. 앰비언트 광고의 이해
Ⅲ. 앰비언트 광고와 시각적 의사소통
Ⅳ. 앰비언트 광고 지도의 실제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절된 난화기의 재생적 상상력
- 생활주변 재료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입체 표현력 연구
- 생태학적 관점의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 프랑스 초등교사 임용시험 전형방식과 미술문항 특성 분석
- 미술과 중심의 통합교육 탐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 공감능력과 미술 감상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화
- 시각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앰비언트(Ambient) 광고지도 방법 모색
- 교육대학원에서 미술과 교직과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 중국 근대 미술교육 제도와 국가 정체성
- 다문화 미술교육의 접근 방안 연구
- 차이, 정체성의 이슈와 다문화 미술교육
-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발굴 사례연구
- 2007/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