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7/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비교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Rivised in 2011 Curriculum by comparing with 2007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선(Kim, Jung-S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31권, 49~7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1년 9월 고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교육과정’이 어떠한 동인을 반영하여 변화되었으며 그 변화의 내용은 무엇이고 따라서 현장의 미술교육은 그 이전과 어떻게 다르게 바뀌어야 하는 것인가 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교육과정 체제, 교육 목표,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2009 미술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내용 등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 하고, 둘째, 분석된 차이를 2009 교육과정의 개정의 방향 및 방침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학교에서 미술과 교육의 실천의 방향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개정의 쟁점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 2011 미술과 개정 교육과정은 2007 교육과정과 큰 틀을 같이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총론과 미술교과의 연계성을 강화한 점은 의의라 하겠으나 개정의 중점으로 삼았던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 제고, 다양한 미술교육의 성격 반영, 미술과 교육내용의 적정화와 내용 요소 개선과 관련하여서는 미흡한 점들이 분석되어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11, and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standards of ‘Art’. Curriculum on 2011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that MEST has provided, in order to fulfill needs of national policies of education. Therefore the direction of ‘Art’ curriculum were written based on requirements of both the inner and outer demands. Analysis of this research covers followings: the background and guideline of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11, the principals of the curriculum revision, and change aspects of goal and content of Art Curriculum in 2011 by comparing with Art Curriculum in 2007. As a result, The Framework of the contents is maintained to the current curriculum in wide view. However, I pointed the problem about improving communication role of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nature of a variety of art education, and improving the optimization of Art content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not only help to understand the revised curriculum, but also serve as a direction in teaching Ar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육과정 체제의 변화
Ⅲ. 교육 목표의 변화
Ⅳ. 교육 내용의 변화
Ⅴ. 나가며: 2011 초등미술과 교육과정의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 다문화 미술교육의 접근 방안 연구
- 차이, 정체성의 이슈와 다문화 미술교육
-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발굴 사례연구
- 조절된 난화기의 재생적 상상력
- 생활주변 재료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입체 표현력 연구
- 생태학적 관점의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 프랑스 초등교사 임용시험 전형방식과 미술문항 특성 분석
- 2007/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비교
- 공감능력과 미술 감상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교육대학원에서 미술과 교직과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미술과 중심의 통합교육 탐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화
- 시각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앰비언트(Ambient) 광고지도 방법 모색
- 중국 근대 미술교육 제도와 국가 정체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사와 유아의 비판적 사고 간의 관계에서 교사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영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 관계 증진 훈련(CTRT)을 적용한 유아-교사 상호작용 중심 놀이지원역량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