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미술교육의 접근 방안 연구
이용수 40
- 영문명
- A Study on Approaches to Practice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손지현(Sohn, Ji-Hyun)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31권, 167~1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미술교육의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미술과 교육과정과 현재 출판된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다문화 교육 관련 내용을 검토하여 미술과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방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문화 미술교육의 이론과 교육과정의 접근 방안을 살펴보고 미술 교과서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2007년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에 비해 다문화 관련 교육내용이 확대되었으나 서구권의 작품이 더 많으며 여성 작가의 작품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좀더 다양한 문화권의 작품선정과 아울러 문화적 편견감소와 협력을 추구하는 내용을 교과서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해줄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다문화 교육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 접근방식의 개선과 다문화 미술교육 관련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류학적, 사회재건주의적 접근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의 실천방안으로 미술 작품을 통한 문화적·미적 다원성의 학습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삶과 통합된 미술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Multicultrualism is advocated by scholars and educators in most school subjects. Especially, Korea is turning to multicultural society in terms of demographic changes due to increasing international marriages and globalization. There are growing nee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art classrooms. To provide educational tools for multicultural art, art textbooks should be a significant role for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addresses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multiculturlism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9 kind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National Art Curriculums are analyzed. The researcher introduces the numbers of European and non-European artworks, the numbers of male artists and female artists for cultural diversity in middle school art textbooks. The study shows the growing numbers of artwork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but the textbooks need alternative approaches to making and interpreting artworks instead of the dominant European and male-artist perspectives. To help teachers develop multicutlrual art class, the author suggests that socio-anthropologist and social reconstructionist perspectives for pedagocial approaches to art education need to be implemented for teaching. It is critical that we need to shift the emphasis from the formal elements and principles of design to an investigation of the artists , ethnic, social, political, and artistic cultural roles and memberships. Therefore art educators should help our students to look at artworks and popular culture from diverse perspectives by recognizing our own assumptions and stereotypes of others.
목차
Ⅰ. 서 론
Ⅱ. 다문화 미술교육의 고찰
Ⅲ. 다문화 미술과 교육의 접근 방안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찰적 전환’을 통한 미술 교사의 정체성 형성
- 다문화 미술교육의 접근 방안 연구
- 차이, 정체성의 이슈와 다문화 미술교육
-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 발굴 사례연구
- 조절된 난화기의 재생적 상상력
- 생활주변 재료활용을 통한 창의적인 입체 표현력 연구
- 생태학적 관점의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 프랑스 초등교사 임용시험 전형방식과 미술문항 특성 분석
- 2007/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비교
- 공감능력과 미술 감상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 교육대학원에서 미술과 교직과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미술과 중심의 통합교육 탐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에 근거한 문화예술교육의 개념화
- 시각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앰비언트(Ambient) 광고지도 방법 모색
- 중국 근대 미술교육 제도와 국가 정체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