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 정책 방향 고찰

이용수 984

영문명
A Study on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y Direction for Educational Alienation and Gap Settlement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최태호(Tae-Ho Choi)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8권 11호, 809~81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교육의 이상적인 모습은 모든 학생들이 소외되지 않고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가짐으로써 자신의 잠재역량을 최대한 개발하고 발휘할 수 있는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소외를 예방하고 해소하는 일은 학교의 주된 역할로 수행되어야 하며, 학교의 교육활동 및 조직경영의 제 장면에 있어 교육소외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반영되고 일상화되어야 한다. 교육복지의 실천에 있어서는 경험을 통해서 검증된 나름대로의 원리가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충실하지 못할 경우 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수 있다. 그 원리는 학생의 삶의 질 중심, 유의미한 학습경험 중심, 서비스의 연계 통합 중심, 지역중심 네트워크를 통한 거버넌스 및 공동체적 접근 중심 등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학교는 스스로 교육복지 실천공동체가 되어야 하며, 지역교육복지공동체의 핵심 주체가 되어야 한다. 교육소외를 극복하여 정상적인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에서는 교육복지 실천공동체 구축을 위한 방향성과 비전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교육선진국의 사례와 시사점을 살펴보고, 교육복지 정책의 거시적 관점에서의 방향은 무엇인지 고민하며, 나아가 국가수준에서의 정책적 과제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ideal aspect of school education is that all students are not alienated and hav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maximize their potential competencies. Therefore, the prevention and elimination of educational alienation should be performed as the main role of the school, and efforts to overcome the educational alienation should b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organization management. In the practice of educational welfare,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principle through experience, and if it is not faithful,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the effect. The principles are student s life focused on the quality,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service-oriented integration, and governance through community-based networks and community centered approach. The school itself should become a practice community of educational welfare, and it should become a core subject of local educational welfare community. To this end, the direction and vision for establishing a community for educational welfare practice should be presented at the national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look at the samples and points of the educational developed countries,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welfare policy from the macro perspective to overcome this reality, and propose the policy tasks at the national leve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및 절차
4. 해외 선진국의 교육복지 사레 및 시사점
5. 국가 수준에서의 교육복지 정책 방향 탐색
6.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태호(Tae-Ho Choi). (2018).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 정책 방향 고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11), 809-818

MLA

최태호(Tae-Ho Choi). "교육소외와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복지 정책 방향 고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1(2018): 809-8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