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 데이터마이닝를 활용한 E-learning 모델 개발 활성화 방안

이용수 146

영문명
Development of E-learning model using education data mining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장연연(Juanjuan Zang) 김영순(Young-soon Kim)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8권 11호, 613~620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멀티미디어 교육과 비교할 때 E-learning은 새로운 교육 모드이며, 이의 출현은 인터넷 발전의 또다른 물결입니다. E-learning은 교육 자원, 교수 관리 및 교사 - 학생 교류를 위한 개발 공간을 개선할 것이다. E-learning의 개념은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부여 받고 있으며 E-learning 모델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교수 방법 또한 보조 교육 방법에서 주요 교수 모델로 바뀌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지식의 전문성 신장과 비판적인 사고 능력을 유도하기 위해 E-learning학습 활동 모델 개발 활성화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learning학습 활동에서 축적된 정보를 교육데이터마이닝을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습 유형, 학습 진도, 학습 참여도 등의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학습 모델을 구축하고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데 학습 분석의 다양한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에 의하여 COLLA 시스템 학습자들의 학습활동빈도 산출을 위해 그룹활동지수(Group Activity Index) 기준으로 학습활동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는 상위 3개 그룹, 학습활동이 활발하지 못한 하위 3개 그룹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데이터마이닝에 기반한 E-learning 모델 개발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Compared with multimedia teaching, E-learning is a brand-new teaching mode, and its emergence is another wave i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Learning will enable better development space for teaching resources, teaching management, and teacher-student exchanges. The concept of E-learning is constantly being given new meaning,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E-learning model are also changing from auxiliary teaching methods to major teaching mod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ctivation of e-learning activity model in order to induce college students to develop knowledge expertise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learners learning style, learning progress and learning participation by analyzing the accumulated information from the e-learning activities using educational data mining. This will help to build an effective learning model an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various uses of learning analysis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In order to calculate the frequency of learning activities of COLLA system learners, the top three groups actively pursuing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Group Activity Index and the three subgroups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were not active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Finally, the direction of e-learning model development based on educational data mining is suggested.

목차

1. 서론
2. 교육데이터마이닝 및 학습분석학
3. E-learnig 학습 활동 수집 모델
4. 교육 데이터마이닝에 기반한 E-learning 모델 개발 활성화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연연(Juanjuan Zang),김영순(Young-soon Kim). (2018).교육 데이터마이닝를 활용한 E-learning 모델 개발 활성화 방안.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11), 613-620

MLA

장연연(Juanjuan Zang),김영순(Young-soon Kim). "교육 데이터마이닝를 활용한 E-learning 모델 개발 활성화 방안."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11(2018): 613-6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