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과정 내용 구조화를 위한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 분석
이용수 109
- 영문명
-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Media Section for Structuring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지수(Jisu Lee) 박종관(Jongkwan Park) 최건아(Geon-ah Cho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5호, 525~55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중 공통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초등학교급과 중학교급의 매체 영역을 분석하여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상의 매체 영역을 구조화하고 정교화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하여 각 성취기준이내용 체계에 제시된 내용 요소와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초등학교급의 9개 성취기준,중학교급의 6개 성취기준이 분석 대상이 되었다.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구조적 측면에서 내용 체계에서 재구조화되어야 하는 부분이 있음을 보이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내용적 측면에서는 좀 더 명료하게 기술되어야 하는 개념 및 좀 더 강화되어야 하는 내용을 제시하고,마찬가지로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 sec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curricula in the revised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aiming to provide insights for structuring and refining the media section in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The analysis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ntent structure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assessing how each standard corresponded to specific content elements. The media content system, along with nine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s and six for middle schools, served as the analysis targets. The findings identified areas within the content system needing revision, including structural adjustments and areas where content clarity and depth should be enhanced.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were also proposed based on these insights.
목차
1. 서론
2. 초등학교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분석
3. 중학교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분석
4. 논의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5호 목차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메타인지에 기반한 대학 글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의 설계 및 수행 -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활동
- 델파이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글쓰기 피드백 모형 개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수정하기 수업 사례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 탐색
-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독자 고려를 위한 협력학습 방안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과정 중심 쓰기에서 피드백에 관한 학부 유학생의 인식 변화 - S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적용
- 다문서 기반에서 상충정보의 개념 및 해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 성인 애독자의 독서 전략으로서의 병렬 독서에 대한 탐색 - 개념과 실천 기제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 내용 구조화를 위한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 분석
- 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의 관계 -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 『토지』에 나타난 지배와 자유의 문제
- 오가와 요코의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의 심리 공간과 현실 공간 - 기호와 시간성을 중심으로
- 딸, 혹은 ‘오랜 내 안의 나’에 대하여 말한다 - 김혜진의 장편소설, ‘딸에 대하여’를 핑계 삼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