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의 관계 -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Expository Reading Classes and Instructional Practice - Based on teacher variabl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허모아(Moah Heo) 편지윤(Jiyun Pyu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5호, 495~52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2~3학년에서 이루어지는 비문학 독해 수업을 중심으로 교사들이 인식하는 어려움과 수업 실행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수업 어려움에 관한 인식과 수업 실행 내용에의 차이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다.이에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현직 교사 48명을 대상으로 ‘수업 어려움에 관한 인식’ 및 ‘수업 실행 양상’에 대한 응답을 비롯하여 ‘수업 효능감’,‘교직 경력’,‘학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상관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 어려움의 요소와 수업 실행 간의 관계를 밝히고,독립표본t검정 방법을 활용하여 수업 효능감,교직 경력,학력에 따른 인식 및 실행상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비문학 독해 수업에서의 실천 내용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 어려움의요소들이 다양한 양상으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특히 학생들이 지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배경지식 및 참고 자료를 준비·제시하는 활동은 학생요인,교사 요인,제도 요인과 두루 상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이 연구는수업 효능감,교직 경력,학력과 같은 배경 변인에 따라 교사의 수업 인식과 실행에 차이가 존재함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perceived by teachers and instructional practice, focusing on expository reading classes in high school,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practice and perceptions regarding class difficulties according to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Data on teaching efficacy, teaching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perception regarding class difficulties, and instructional practice execution patterns were collected from 48 high school reading teachers. Corre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practice in expository reading classes and class difficulties as perceived by teachers were correla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giving out background knowledge or assistant material was found to have a considerable correlation with student, teacher,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Conversely, the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 and instructional practi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eaching efficacy, teaching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5호 목차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메타인지에 기반한 대학 글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의 설계 및 수행 -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활동
- 델파이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글쓰기 피드백 모형 개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수정하기 수업 사례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 탐색
-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독자 고려를 위한 협력학습 방안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과정 중심 쓰기에서 피드백에 관한 학부 유학생의 인식 변화 - S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적용
- 다문서 기반에서 상충정보의 개념 및 해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 성인 애독자의 독서 전략으로서의 병렬 독서에 대한 탐색 - 개념과 실천 기제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 내용 구조화를 위한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 분석
- 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의 관계 -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 『토지』에 나타난 지배와 자유의 문제
- 오가와 요코의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의 심리 공간과 현실 공간 - 기호와 시간성을 중심으로
- 딸, 혹은 ‘오랜 내 안의 나’에 대하여 말한다 - 김혜진의 장편소설, ‘딸에 대하여’를 핑계 삼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