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정 중심 쓰기에서 피드백에 관한 학부 유학생의 인식 변화 - S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73
- 영문명
- Changes in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Feedback in Process-Oriented Writing - Focusing on S University’s writing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양지선(Jisun Ya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5호, 249~27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부 유학생 대상의 필수교양 쓰기 수업에서 피드백 제공자에 따른 학습자의 인식이 피드백을 받기 전과 후,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여 향후,글쓰기 수업에서 학습자의 실력에 적합한 피드백 제공을 통해 글쓰기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학부 유학생들은 동료나 자신이 하는 피드백보다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을 신뢰하므로 교사 중심의 집중적인 피드백 제공이 필요하며,고쳐 쓰기 과정에서만족감이 크기에 학습자의 글에 피드백이 반영되었는지 확인,점검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학습자는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표기 오류 점검과 형식에서 만족감을 보여글을 쓸 때,철자 등 정확성이 글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인지시킬 필요가 있음도확인하였다.마지막으로,TOPIK6급을 보유한 학습자는 직접 피드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표기 오류 확인에 만족감이 컸고,TOPIK3,4,5급 학습자의 경우,간접 피드백을 통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으며,형식 피드백을 제공받을 때 만족감이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급 학습자 대상으로는 직접 피드백을 제공하여 정확성을 통한 글의 완성도를 이끌고,중급 이상의 학습자에게는 간접 피드백을 제공,문법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형식 피드백을 주는 것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s of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in a required liberal arts writing course change before and after receiving feedback from different providers. The goal wa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instruction by providing feedback suited to the learner's skill level.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tend to trust feedback from teachers more than peer or self-feedback, indicating the need for teacher-centered, focused feedback. Additionally, students expressed high satisfaction during the rewriting process, whi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hecking and confirming whether the feedback has been reflected in the students’ work.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learners derived satisfaction from error correction and feedback on grammar provided by teachers, recognizing that accuracy, such as correct spelling, can enhance the completeness of their writing. Finally, students with TOPIK level 6 responded positively to direct feedback and were highly satisfied with error correction. In contrast, learners at TOPIK levels 3, 4, and 5 responded positively to changes resulting from indirect feedback and were more satisfied when receiving form-focused feedback.
The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direct feedback to advanced learners can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ir writing through accuracy, while indirect feedback and form-focused feedback can benefit intermediate-level learners by helping them ensure grammatical accurac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제언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5호 목차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메타인지에 기반한 대학 글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의 설계 및 수행 -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활동
- 델파이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글쓰기 피드백 모형 개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수정하기 수업 사례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 탐색
-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독자 고려를 위한 협력학습 방안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과정 중심 쓰기에서 피드백에 관한 학부 유학생의 인식 변화 - S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적용
- 다문서 기반에서 상충정보의 개념 및 해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 성인 애독자의 독서 전략으로서의 병렬 독서에 대한 탐색 - 개념과 실천 기제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 내용 구조화를 위한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 분석
- 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의 관계 -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 『토지』에 나타난 지배와 자유의 문제
- 오가와 요코의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의 심리 공간과 현실 공간 - 기호와 시간성을 중심으로
- 딸, 혹은 ‘오랜 내 안의 나’에 대하여 말한다 - 김혜진의 장편소설, ‘딸에 대하여’를 핑계 삼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