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이용수 52

영문명
Example of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writing - Focusing on mutual feedback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배윤정(Yunjeong Ba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5호, 161~18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의 문화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모형을 마련하고,이를 기반으로 한 실제 수업 사례를제시하였다.그리고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점검하였다.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리터러시 수업 모형은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하며,문화 교육 과정에 따라글쓰기 활동이 결합되어 있다.여기에서 학생들이 작성하는 쓰기 결과물은 학습자들의 사고 과정을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점검할 수 있게 도와준다.그리고 이 수업 모형은 자신의 문화 경험 및 인식을 다른 학습자들과 소통함으로써 문화 리터러시 역량을향상시키는 데 서로가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실제로 학습자들이 초고로 작성한 글과 상호 피드백 및 소통의 과정을 거친 후에 다시쓰기 한 글을 비교·분석해 보면차이가 나타난다.대부분 다시쓰기 한 글에서 해당 문화에 대한 생각이 더 정교해지거나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더불어 학생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75%의 학생들이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가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다.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 및 소통이 문화 리터러시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또한 학습자들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각의 변화들을 글을 통해 가시적으로 점검할 수 있기에 문화 리터러시 수업에 글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a model for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rough writing, with a focus on mutual feedback, specifically designed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is model, an actual class example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dditionally, a student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class. The cultural literacy model emphasizes communication and integrates writing activities into cultural education. Students' written work visually demonstrates their thought processes, allowing for a clearer evaluation. This class fostered mutual improvement by encouraging students to share their cultural experiences with their peers. An analysis of the students’ original writings before and after mutual feedback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vised writings showed more refined thoughts on culture. Moreover, 75% of the students indicated that writing with feedback helped them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This study confirms that mutu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re vital to cultural literacy education. Additionally, writing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tool in these classes, providing a visible representation of changes in students’ thinking.

목차

1. 서론
2. 문화 리터러시 교수 설계
3.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4. 수업 분석 및 학생 만족도 조사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윤정(Yunjeong Bae). (2024).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리터러시 연구, 15 (5), 161-188

MLA

배윤정(Yunjeong Bae).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리터러시 연구, 15.5(2024): 161-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