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의 설계 및 수행 -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활동
이용수 30
- 영문명
- Designing and performing presentations as a process of rewriting - Student activities in liberal arts writing classes at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남미(Nammee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5호, 221~2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의 발표 수업이 어떤 원칙과 방향을 가져야 하는가를 검토하고 그 사례를 제시하는 데 있었다.학습자들이 질적으로 수준 높은 발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두 발표 역량(oralpresentationcompetence)’을 넘어서는 “포괄적 발표 과정(Comprehensivepresentationprocess)”으로 확장이 필요함을 강화하였다.발표에서 가장 중요한 위계를 갖는 ‘주제’,‘구조’와 같은 요소는 발표 현장 자체에서 실현되는 것이 아니며,발표의 이전 과정,발표의 실행 과정,발표 이후 과정을 걸치면서지속적으로 검토되고 확장되어야 하는 대상이다.대학의 발표 수업은 학습자들이 이포괄적 발표 과정(Comprehensivepresentationprocess)에서의 중요한 틀을 만들기위한 ‘다시쓰기 및 다시 읽기’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의사소통의 본질을 행동을 통해배우고 내재화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교육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이 ‘주제 및 구조’와 같은 글쓰기 안에서 위계가 높은 거시구조의 틀짜기와 이를 수정하는 경험을 긴 시간에 걸쳐 수행하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그 과정에는 학습자들이 핵심정보를 중심으로 이미 가시화된 사고의 결과물로부터 같은 위계나 상위 위계를 가질 수 있는 잠재된 핵심정보들을 산출하고 이를 인식하고 내재화하는 기회가 반영되어야 한다.학습자들이 포괄적 발표 과정(Comprehensive presentationprocess)이라는 긴 호흡 안에서 자기 사고를 확대하는 질적 수준의 개선과정을 경험하고 이를 내재화하는 과정이 진정 필요한 발표에 필요한 인지적,행동적역량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inciples and direction that university presentation courses should adopt, based on a case study. This study reinforces the necessity of expanding beyond mere “oral presentation competence” to a “comprehensive presentation process” for students to perform high-quality presentations. Key elements such as “topic” and “structure,” which hold the highest hierarchical importance in a presentation, are not fully realized during the presentation itself. Instead, these elements must be continually reviewed and expanded throughout the pre-presentation, execution, and post-presentation phases. University level presentation courses should be designed to help learners internalize the essence of communication through active engagement in the processes of “rewriting and rereading,” enabling them to form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this comprehensive presentation process.
To achieve this, students must be provided with extende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onstructing and revising higher-order macrostructures such as “topic and structure” within writing. This process should incorporat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identify and generate latent core information that may share the same or a higher hierarchical level as the visible results of their thinking, allowing them to recognize and internalize such information. The experience of expanding one’s cognitive processes and undergoing qualitative improvement within the comprehensive presentation process is essential for developing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competencies required for an effective presentations.
목차
1. 서론
2. 기존 논의 및 주요 문제
3.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5호 목차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메타인지에 기반한 대학 글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의 설계 및 수행 -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활동
- 델파이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글쓰기 피드백 모형 개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수정하기 수업 사례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 탐색
-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독자 고려를 위한 협력학습 방안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과정 중심 쓰기에서 피드백에 관한 학부 유학생의 인식 변화 - S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적용
- 다문서 기반에서 상충정보의 개념 및 해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 성인 애독자의 독서 전략으로서의 병렬 독서에 대한 탐색 - 개념과 실천 기제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 내용 구조화를 위한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 분석
- 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의 관계 -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 『토지』에 나타난 지배와 자유의 문제
- 오가와 요코의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의 심리 공간과 현실 공간 - 기호와 시간성을 중심으로
- 딸, 혹은 ‘오랜 내 안의 나’에 대하여 말한다 - 김혜진의 장편소설, ‘딸에 대하여’를 핑계 삼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