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적용
이용수 12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Preservice Teachers’ Writing Assessment Literacy - A Scoping Review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혜연(Hyeyoun Kim)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5호, 309~34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실 현장에서 작문 평가의 위상과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교사교육의 차원에서도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을 제대로 함양하는 일이 관건으로 떠올랐다.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국내외 간 동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실질적인 교사교육 실천과 더욱 균형 잡힌 후속 연구 수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하여,주제범위 문헌고찰의 방법론을 도입하여 연구 질문을 도출하고 국내외 4개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연구물을 수집하였다.또한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대상 문헌을 국내 24건,국외 31건으로 확정하였다. 질적 내용분석에 의거하여 선정된 문헌에 대한 자료 기입을 실시하였으며,이에 따라발행연도,연구 분야,연구 대상,연구 방법,연구 목적,연구 주제 등을 기준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분석 결과에 따르면,발행연도 및 연구 목적에서는 국내외 간 동향이유사하게 나타난 반면,연구 분야,연구 대상,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국내외 간 차이가꽤 나타났다.연구 주제 차원에서도 국내 연구의 경우 예비교사의 작문 채점에만 집중되는 경향이 컸으나,국외의 경우 채점과 피드백이 대체로 균형 있게 탐구되었으며 작문 평가의 관점이나 인식,평가 수행에 대한 성찰 등 작문 평가 문식성의 다양한 측면을 다룰 수 있는 주제들이 고르게 분포하였다.작문 평가 문식성의 개념이 추구하는궁극적인 방향을 고려할 때 국내 연구가 좀 더 다양화 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영문 초록
As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writing assessment in classroom settings have increased, fostering writing assessment literacy among preservice teachers has emerged as a crucial task in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related to preservice teachers’ writing assessment literacy and compa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to lay the groundwork for practical teacher education and more balanced future research. According to a scoping review, studies were collected from four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s. After applying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24 domestic and 31 international studi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literature sample. The results revealed that while the trends in publication year and research objectives were similar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notable differences were found in research fields, subjects, and method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domestic studies tended to focus primarily on reli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writing assessment scoring, whereas international studies explored both scoring and feedback in a more balanced manner. Additionally, topics addressing various aspects of writing assessment literacy, such as perspectives, perceptions, and reflections on writing assessment, were more evenly distributed in international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5호 목차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메타인지에 기반한 대학 글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의 설계 및 수행 -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활동
- 델파이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글쓰기 피드백 모형 개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수정하기 수업 사례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 탐색
-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독자 고려를 위한 협력학습 방안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과정 중심 쓰기에서 피드백에 관한 학부 유학생의 인식 변화 - S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적용
- 다문서 기반에서 상충정보의 개념 및 해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 성인 애독자의 독서 전략으로서의 병렬 독서에 대한 탐색 - 개념과 실천 기제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 내용 구조화를 위한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 분석
- 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의 관계 -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 『토지』에 나타난 지배와 자유의 문제
- 오가와 요코의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의 심리 공간과 현실 공간 - 기호와 시간성을 중심으로
- 딸, 혹은 ‘오랜 내 안의 나’에 대하여 말한다 - 김혜진의 장편소설, ‘딸에 대하여’를 핑계 삼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