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이용수 66

영문명
Exploring trends and impacts i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time - Based on reading medium and purpose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용준(Yongjun Lee) 이창희(Changhee L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5호, 463~49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매체 및 목적에 따른 읽기 행동 경향과 더불어 그러한 읽기 경향이읽기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연구 결과,우선 학생들은 인쇄물 읽기보다 디지털 읽기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는 점과 더불어 읽기 매체 유형별로 평일이나 주말에 읽기 시간 경향에 괄목할 만한 차이가 있지는 않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이어 분산분석 결과,디지털 읽기 시간에 비해 인쇄물 읽기 시간이 읽기 성취에 보다 더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끝으로,읽기 목적을 학습 및 여가로 나누어 실시한 회귀분석 결과는 인쇄물이나 디지털이라는 매체유형에 상관없이 학습 목적의 읽기 시간이 학생들의 읽기 성취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언들을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igh school students’reading behavior trends across different media (print vs. digital) and purposes (learning vs. leisure)and examined how such reading tendencies influence reading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indicated that students spent more time on digital reading than print reading and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in reading time across weekdays and weekends in terms of medium. Seco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vealed that print reading time had a mor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achievement compared to digital reading time. Lastly, regression analysis, which categorized reading purposes into learning and leisure, showed that reading time for learning purpos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regardless of the media type (print or digital).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용준(Yongjun Lee),이창희(Changhee Lee). (2024).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리터러시 연구, 15 (5), 463-493

MLA

이용준(Yongjun Lee),이창희(Changhee Lee).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리터러시 연구, 15.5(2024): 463-4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