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이용수 66
- 영문명
- Exploring trends and impacts i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time - Based on reading medium and purpose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용준(Yongjun Lee) 이창희(Changhee Le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5권 5호, 463~49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매체 및 목적에 따른 읽기 행동 경향과 더불어 그러한 읽기 경향이읽기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연구 결과,우선 학생들은 인쇄물 읽기보다 디지털 읽기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다는 점과 더불어 읽기 매체 유형별로 평일이나 주말에 읽기 시간 경향에 괄목할 만한 차이가 있지는 않다는 점을 확인할수 있었다.이어 분산분석 결과,디지털 읽기 시간에 비해 인쇄물 읽기 시간이 읽기 성취에 보다 더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끝으로,읽기 목적을 학습 및 여가로 나누어 실시한 회귀분석 결과는 인쇄물이나 디지털이라는 매체유형에 상관없이 학습 목적의 읽기 시간이 학생들의 읽기 성취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언들을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igh school students’reading behavior trends across different media (print vs. digital) and purposes (learning vs. leisure)and examined how such reading tendencies influence reading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indicated that students spent more time on digital reading than print reading and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in reading time across weekdays and weekends in terms of medium. Seco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vealed that print reading time had a mor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reading achievement compared to digital reading time. Lastly, regression analysis, which categorized reading purposes into learning and leisure, showed that reading time for learning purpos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udents’ reading achievement, regardless of the media type (print or digital).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터러시 연구 15권 5호 목차
-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 사회과학 영역에서의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메타인지에 기반한 대학 글쓰기 피드백 방안 연구
- 상호 피드백 중심의 글쓰기를 통한 문화 리터러시 수업 사례
- 다시쓰기 과정으로서의 발표의 설계 및 수행 -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의 학습자 활동
- 델파이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글쓰기 피드백 모형 개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외국인 학부생의 글쓰기 수정하기 수업 사례 연구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노인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동향 탐색
- 논증적 글쓰기에서의 독자 고려를 위한 협력학습 방안 - 대학 신입생 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 과정 중심 쓰기에서 피드백에 관한 학부 유학생의 인식 변화 - S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작문 평가 문식성 관련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적용
- 다문서 기반에서 상충정보의 개념 및 해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고등학생의 읽기 시간의 경향과 영향 탐구 - 읽기 매체와 목적을 바탕으로
- 성인 애독자의 독서 전략으로서의 병렬 독서에 대한 탐색 - 개념과 실천 기제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 내용 구조화를 위한 매체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 분석
- 고등학교 비문학 독해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수업 실행의 관계 - 교사 변인을 중심으로
- 『토지』에 나타난 지배와 자유의 문제
- 오가와 요코의 소설 『박사가 사랑한 수식』의 심리 공간과 현실 공간 - 기호와 시간성을 중심으로
- 딸, 혹은 ‘오랜 내 안의 나’에 대하여 말한다 - 김혜진의 장편소설, ‘딸에 대하여’를 핑계 삼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