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위학교 소방안전교육 인식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49

영문명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ire Safety Education in Unit Schools and Improvement Measures: Faculty and staff of Sejong City Office of Education
발행기관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저자명
김창길(Kim, Chang Gil)
간행물 정보
『지식과 교양』제14호, 567~59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설 학교의 고층화, 복합화, 지하화 추세와 학교 건축물의 노후화에 따른 소방안전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소방안전교육 방법, 만족도, 의식 및 행동의 변화도의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효과적인 소방안전교육 방법, 지원방안, 교육과정 편성 등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세종시교육청 관내 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 소방안전교육 인식도 자료를 근거로 교직원 직종간 인식도 차이와 니즈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방안전교육 방법은 원격연수가 가장 높았고, 만족도는 교원, 행정직원, 교육공무직원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직원 소방안전 의식 변화도는 교원, 행정직원, 교육공무직원 순으로 나타났다. 소방안전행동 변화도는 교원, 행정직원, 교육공무직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인식도를 보였다. 이러한 니즈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소방안전교육을 행동주의 교육과정 관점에서 실습 및 체험중심으로 진행하여 실제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고한다. 둘째, 소방안전교육을 학교안전교육 7대 영역과 연계하여 구성주의 교육과정 관점에서 자기주도적 대응 능력을 제고한다. 셋째, 교원․행정직원 등 교직원의 역할에 따른 소방안전교육을 특화하여 소방안전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fire safety education methods, satisfaction, consciousness, and behavior as the risk of fire increases due to the high-rise nature, complexity, and undergroundization of new schools and the aging of older school building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effective fire safety education methods, support measures, and curriculum organization.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needs between faculty and staff were first analyzed based on data of selfawareness of fire safety education conducted for school faculty and staff in the Sejong City Office of Education. As a result, remote training was the highest in the fire safety education method, and satisfaction was in the order of teachers, administrative staff, and educational assistants. In addition, the degree of change in fire safety awareness of faculty and staff was found in the order of teachers, administrative staff, and educational assistants. The degree of change in fire safety behavior was also in the order of teachers, administrative staff, and educational assistants, and an overall low awareness was found. By analyzing these needs,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are suggested. First, fire safe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practice and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n activist curriculum to enhance the ability to respond to actual incidents involving fire safety. Second, by linking fire safety education with the seven areas of school safety education, self-directed response ability can be enhanc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onstructivist curriculum. Third, a plan is proposed to design and operate a fire safety curriculum by specializing in fire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the role of faculty members such as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taff.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소방안전교육 인식도 분석 및 논의
4. 결론 및 정책적 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길(Kim, Chang Gil). (2024).단위학교 소방안전교육 인식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지식과 교양, (), 567-596

MLA

김창길(Kim, Chang Gil). "단위학교 소방안전교육 인식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지식과 교양, (2024): 567-5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