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황해도 진오기굿 <수왕제석거리>의 의미
이용수 18
- 영문명
- An Implication of
, Hwanghae-do Jinogi-gut - 발행기관
-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 저자명
- 홍태한(Hong Tea Han)
- 간행물 정보
- 『지식과 교양』제14호, 541~5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글에서는 황해도 진오기굿 <수왕제석거리>의 의미를 살폈다. 황해도 망자천도굿인 자리걷이와 진오기굿이 서로 다른 굿거리 구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고, 재수굿과 진오기굿의 연행 방식이 다름을 제시했다. 그리고 <수왕제석거리>의 연행 방식을 바탕으로 하여 <수왕제석거리>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살폈다. 특히 ‘수왕제석’이 가지고 있는 기능을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칠성제석’이 산 사람의 복을 관장하듯이 수왕제석은 망자의 복인 왕생천도를 관장하는 기능이 있음을 제시하였고, 저승을 관장하는 존귀한 신령인 십대왕을 굿판에 나타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진오기굿의 핵심 굿거리가 <수왕제석거리>이다. 이글에서는 황해도 진오기굿기 가지고 있는 의미를 다시금 제시하면서 수왕제석의 기능을 명료하게 밝혔고, 칠성제석과 수왕제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서울 진오기굿의 신령 ‘중디’를 가져와서 황해도굿의 수왕제석과 상통하는 면이 있음을 제시한 것처럼 다른 지역의 망자천도굿의 여러 신령도 살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 망자천도굿의 보편 원리가 규명되어야 한다. 황해도 자리걷이와 진오기굿을 재차에 맞게 온전하게 연행하는 만신이 점차 줄고 있다. 재수굿은 굿에 대한 이해와 지식만으로도 충분히 연행이 가능한 반면 진오기굿은 실제로 망자를 모셔 한을 풀고 저승으로 천도시켜야 하는 굿이어서 만신의 남다른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은 자리걷이와 진오기굿을 온전하게 연행하는 만신의 역할이 매우 소중하다. 특히 황해도 진오기굿은 저승에 대한 인식, 망자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게 드러난 굿이다. 앞으로 황해도 진오기굿의 의미를 여러 굿거리 내용 분석을 통해 제시하여야 할 것이고, 다른 지역의 굿과 비교하여 의미를 도출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an implication of of Hwanghaedo Jinogi-gut has been sought. It revealed that Jarigeoti and Jinogi-gut have different Gut-geori (tune or dance performed during exorcism) composition, and presented that Jaesu-gut and Jinogi-gut have different performance method from each other. And,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method of , the implications retained in is sought. In particular, the functions contained in Suwangjeoseok is presented in two folds. It has presented that, as Chilseongjeoseok oversees the blessings of living beings, Suwangjeoseok has the function to oversee the Wangsaengcheondo (born again after death to ascend to heaven), the blessing of the deceased, and it is deemed to undertake the role to bring out the sacred holy divine that oversees the other world, Sipdaewang (ten kings of underworld that adjudicate the trial for the deceased), onto the gut-pan (ground for Gut). In other words, the core Gut-geori of Jinogi-gut is . Through this consideration, this article has accomplished in reiteration of implication held in Hwanghae-do Jinogi-gut, clarifying in succinct form of the functions of Suwangjeoseok, and present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Chilseongjeoseok and Suwangjeoseok. As it has presented that there is a common aspect with Suwangjeoseok of Hwanghae-do-gut by bringing in Jungdae of Seoul-gut, several other holy divines of Mangjacheondo-gut (exorcism performance to lead the deceased to ascend to heaven) in other regions have to be considered. Through these endeavors, the general principle of Mangjacheondo-gut in Korea has to be clarified. The performing shaman of Hwanghae-do Jarigeoti and Jinogi-gut has gradually been in decline. While Jaesu-gut can fully be administered only with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is Gut, Jinogi-gut is the Gut that ascends the deceased into the other world by relieving their sorrow, and it requires the shaman with extraordinary capability. Therefore, the role of the shaman to completely perform Jarigeoti and Jinogi-gut is extremely valuable. In particular, Hwanghae-do Jinogi-gut is the Gut that is clearly displaying the awareness on the other world as well as the deceased. In the days to come, the implications of Hwanghae-do Jinogi-gut have to be present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other Gut-geori and formulate its other implications by comparing with guts of other regions.
목차
1. 머리말
2. 진오기굿과 재수굿의 연행 방식 비교
3. <수왕제석거리>의 연행 양상과 기능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식과 교양 제14호 목차
- 대학 교양으로서 일반생물학 수업에서 ‘기후 변화’ 교육
- 인간-AI 공동창작 공연예술 특성 연구
- 대학 교육의 AI 활용 가능성 탐색
- 싱가포르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대형화재 피난안전의 영향요인 실증분석
- 위탁 어린이집 원장의 현실과 대안 모색
- 웰에이징 연구경향과 과제
- 조선 시대 한글의 사용 양상
- 가상현실 플랫폼 <로블록스>를 활용한 앙트러프러너십 기반 문제해결 콘텐츠 제작 교육 사례 연구
- 대규모 재난 시기 발현되는 공동체 미디어의 역할 연구
- 단위학교 소방안전교육 인식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대학 영작문 교과목에서 자동번역기 활용법 개선을 위한 연구
- 시스템 사고 적용 미술 수업 방안 연구
- 교육과정의 계속성을 고려한 글쓰기 상담 개선 방안 연구
- 만화자료 활용을 통한 지역 민주의거 교육의 확산 전략 제언
- 공감의 관점에서 분석한 연극교육의 가치 연구
- 소루쟁이 뿌리 추출물의 배아 독성 및 항염 효능 평가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 대학 토론대회 운영 현황 및 시사점
- 청소년 영화교육 정책에 관한 고찰
- 대학 고전읽기 교육의 교육목표와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해녀 표상과 로컬리티
- 조선시대 설행된 여제(厲祭)의 제장 연구
- 황해도 진오기굿 <수왕제석거리>의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더보기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정신간호역량 교육 요구도 분석 - 비정신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 지식융합연구 제7권 제2호 목차
- 서사기법, 심기와 거두기(Plant & Payoff) 연구 - OTT 영화 「전,란(Uprising)」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