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아동용 대중문화의 사실주의적 기계 묘사

이용수 20

영문명
A Realistic Mechanical Description of Popular Culture for Children in Japan : Focusing on the illustrations of giant robot animation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하성호(Sung-ho Ha)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41輯, 445~47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전후 일본의 아동 문화 속에서 인기를 끌었던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에서 사용된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의 유래와 의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는 전전의 아동용 읽을거리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전후 아동 문화 속에서 발견되는 이 표현 양식의 직접적인 기원은 전시하의 아동용 전쟁 프로파간다 회화라고 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이 끝난 직후 월간 소년 잡지 시대에는 SF 에모노가타리로, 1960년대 이후의 주간 만화 잡지 시대에는 권두의 전기 이야기의 삽화나 밀리터리 프라모델의 패키지 일러스트로 활용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에는 점차 아동용 TV 정보지에서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을 표현하는 데 쓰였다. 특촬 드라마라는 실사 미디어와 같은 지면에 실림으로써, 매끈하고 평면적인 애니메이션의 셀화가 지니지 못한 사실적인 질감이나 입체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가 애니메이션 로봇의 표현에 이용된 것이다. <기동전사 건담>이 인기를 끈 1980년대 이후로는, 애니메이션의 셀화 자체에 대한 팬들의 선호가 높아졌으나 그럼에도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는 아동용 TV 정보지나 로봇 애니메이션의 프라모델의 패키지 일러스트로 활용되었다. 특촬 드라마 등 실사 매체에 비해 평면적이고 추상성이 큰 셀 애니메이션의 한계로 표현되지 못했던, 아동용 대중문화 속에서 꾸준히 지향되어 왔던 실사적인 ’리얼‘함을 보충하기 위해 사실주의적인 기계 묘사가 활용된 것이다. 실재의 역사뿐 아니라 허구의 세계를 아동에게 리얼하게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 왔던 이러한 표현의 역사와 양상은, 1970년대 정치의 계절이 끝난 이후 소비 사회에 접어들며 허구적인 것에 리얼리티를 느끼게 되었다는 전후 일본 사회의 도정의 일면을 보여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 and significance of realist machine descriptions used in giant robot animation, which was popular in postwar Japanese children's culture. Realistic machine descriptions can also be found in children's literature before the war, but the direct origin of this expression style found in postwar children's culture can be said to be propaganda paintings for children during wartime. It was used as an SF ‘emongatari’ in the monthly boy magazine era right after the Pacific War, and as an illustration of war stories in magazines and a package illustration of military plastic models in the weekly comics magazine era after the 1960s, but after the 1970s, it was gradually used to express giant robot animations in children's TV information magazines. By being published on the same page as the live-action media of a SFX(‘Tokusatsu’) drama, a realistic machine description was used in the expression of an animation robot to express the realistic texture or three-dimensionality that the celluloid painting of smooth and flat animation did not have. Since the 1980s, when “Mobile Suit Gundam” became popular, fans' preference for animation celluloid painting itself has increased, but realistic machine descriptions have nevertheless been used as package illustrations for children's TV information magazines or plastic models of robot animation. Realistic machine descriptions were used to supplement the “real”ness that had been steadily pursued in children's popular culture, which was not expressed as a limitation of traditional animation, which is flat and abstract compared to live-action media such as SFX dramas. The history and aspects of these expressions, which have been trying to make children feel not only real history but also the fictional world realistically, show one aspect of Japan's postwar society that it has felt reality in the fictional world as it entered the consumer society since the end of the political season in the 1970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전후 아동용 대중문화 속에서 사실주의적 기계 묘사의 흐름
Ⅲ.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이라는 콘텐츠와 아동용 TV 정보지
Ⅳ. <기동전사 건담>의 시대와 사실주의적 기계 묘사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성호(Sung-ho Ha). (2024).일본 아동용 대중문화의 사실주의적 기계 묘사. 일본연구, (), 445-475

MLA

하성호(Sung-ho Ha). "일본 아동용 대중문화의 사실주의적 기계 묘사." 일본연구, (2024): 445-4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