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션의 국내 관람객 감상 경험 분석

이용수 29

영문명
Understanding the Domestic Reception of Makoto Shinkai's Animation through Text Mining : “A Focusing on the , ,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김지우(kang-eun Kim) 김강은(kang-eun Kim) 박윤미(yoon-mee Park) 신민경(min-kyung Shin) 권민혁(min-hyuk Kwon) 이상혁(sang-hyuk Lee)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41輯, 367~40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에 따르면, 현대 사회는 단일한 중심이 존재하지 않는 리좀(Rhizome) 형태의 사회로 각각의 의미들이 단일한 의미로 수렴되지 않고 연결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본의 서브컬쳐 비평가 아즈마 히로키(東浩紀, 1971~)또한 현대의 미디어 소비 환경 속에서 ‘단일한 의미’는 해체되어 설정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설정들을 조합한 작품을 소비자는 ‘읽어내기’ 를 통해 개별 작품의 배후에 존재하는 설정에 도달하게 된다. 이것은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중요한 존재는 의미의 생성자, 즉 전통적 개념의 작가가 아닌 소비자와 그들의 읽어내기임을 시사하는 주장이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재난 3부작’을 둘러싼 다양한 선행 연구들은 정밀하고 심도 깊은 연구들을 통해 창작자 층위에서 생성된 의미의 분석 영역에서 훌륭한 성과들을 도출해내었으나, 작품의 소비자들이 생성해내는 다양한 의미를 포착하는 연구는 다소 부진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문화 콘텐츠 소비자들이 콘텐츠를 경유하여 어떤 의미를 생성해내고 있는지 분석하여 ‘풍성한 의미’의 가치를 연구의 영역에 편입시키고자 하였다. 본고는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재난 3부작’으로 알려진 장편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 <날씨의 아이>, <스즈메의 문단속>의 국내 수용 양상 파악을 목적으로 빅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은 정제 단어의 출현 빈도를 바탕으로 원문 데이터와 정제 데이터를 비교 검토하여 해석을 도출하는 ‘빈도 분석’ 방법과 CONCOR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관객의 ‘재난 3부작’ 수용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분석 결과 세 작품을 연작 관계로 파악하는 ‘재난 3부작’이라는 별칭은 『스즈메의 문단속』을 수용자가 재난 영화로 인식함에 따라 공고해진 것이며, 『너의 이름은.』과 『날씨의 아이』를 재난 영화로 인식하는 양상은 빈도 분석 결과에서도, CONCOR 분석 결과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한편 국내 관객은 분석 대상 작품군의 미디어믹스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미디어믹스 작품을 애니메이션 콘텐츠 이외의 ‘미디어 콘텐츠’로 인식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세 작품의 국내 수용 양상에 있어 두드러지는 특징은 해당 애니메이션 콘텐츠가 여행 콘텐츠와 관계 맺고 있다는 사실이다. 작품의 감상 경험이 작품의 실제 배경지를 방문하는 계기가 되었거나, 일본의 여행 경험으로부터 작품을 연상하는 경향성이 파악되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1925-1995), modern society is a rhizome-like society with no single center, where meanings are not converged into a single one but are composed of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Additionally, Japanese subculture critic Hiroki Azuma (東浩紀, born 1971) argued that in the modern media consumption environment, ‘singular meaning’ disintegrates into settings. Consumers, by ‘reading’ the combination of these settings, reach the underlying settings of individual works. This suggests that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the significant entities are not the creators of meaning, i.e., traditional concept of authors, but the consumers and their interpretation. Various preceding studies surrounding Makoto Shinkai's ‘disaster trilogy’ have achieved excellent results in the analysis of meanings generated at the creator level through detailed and in-depth studies, but research capturing the various meanings generated by the consumers of the work has been somewhat lacking. This paper aimed to incorporate the value of ‘rich meanings’ into the research domain by analyzing through big data analysis how cultural content consumers generate meanings through content. The paper utilized the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gram ‘TEXTOM’ to understand the domestic reception patterns of Makoto Shinkai's ‘disaster trilogy,’ known for the feature-length animations “Your Name,” “Weathering with You,” and “Suzume.”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imed to understand the domestic audience's reception of the ‘disaster trilogy’ using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refined words and comparing the original data with the refined data, and the CONCOR (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ickname ‘disaster trilogy,’ perceived as a series connection of the three works, was solidified as “Suzume's Door-Locking” was recognized as a disaster movie by the audience, whereas the recognition of “Your Name” and “Weathering with You” as disaster movies was not found in the frequency analysis or CONCOR analysis results. Meanwhile, domestic audiences also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media mix of the analyzed works. They recognized media mix works as ‘media content’ beyond animation content and actively consumed them through various media. A notable feature in the domestic reception of the three works is that the animation content is related to travel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watching the work became an opportunity to visit the actual locations depicted in the work or to recall the work from experiences of traveling in Japa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내용
Ⅲ. <너의이름은.>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Ⅳ. <날씨의아이>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Ⅴ. <스즈메의 문단속>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과
Ⅵ. 문화 콘텐츠에 대한 능동적 혹은 파생적 소비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우(kang-eun Kim),김강은(kang-eun Kim),박윤미(yoon-mee Park),신민경(min-kyung Shin),권민혁(min-hyuk Kwon),이상혁(sang-hyuk Lee). (2024).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션의 국내 관람객 감상 경험 분석. 일본연구, (), 367-402

MLA

김지우(kang-eun Kim),김강은(kang-eun Kim),박윤미(yoon-mee Park),신민경(min-kyung Shin),권민혁(min-hyuk Kwon),이상혁(sang-hyuk Lee).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신카이 마코토 애니메이션의 국내 관람객 감상 경험 분석." 일본연구, (2024): 367-4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