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이용수 102
- 영문명
- Perception of Medical Institution Employees on the Purpose of Implement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Certification System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박초열(Cho Yeal Park)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6호, 271~28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인증제 시행 후, EMR 시스템인증원의 인증을 통과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근로자들의 EMR 인증제 추진 목적에 대한 인식을 세 가지 관점에서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8월 1일부터 10월 31이며, 인증을 통과한 11개 종합병원 이상 기관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총 1,187건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EMR 인증제 추진 목적에 대한 국민, 의료기관, 산업계 관점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 평균 분석, 회귀분석, Scheff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민 관점별 3개의 항목에서는 “의료 정보의 정보보안 수준을 높여 개인정보유출 및 보안사고가 방지됨”의 인식이 (t=-3.827, p<.01)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의료기관 관점에서는 “투약경고 등 임상의사결정 지원 강화, 의료 정보의 이력 관리 등으로 안전하고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가능함”의 인식도(f=-1.612)가 가장 높았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산업계 관점에서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품질 기준에 국가가 인정함에 따라 시장의 품질 요구 대응 가능함”에 대한 인식도(f=-3.154, p<.01)가 높게 나타났다. EMR 인증제 추진 목적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EMR 인증제 추진 국민 관점 목적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의 모형설명력은 27.4%로 나타났고 회귀분석모형은 유의하였다(P<.05). 둘째, EMR 인증제 추진 의료기관 관점 목적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의 모형설명력은 26.9%로 나타났고 회귀분석모형은 유의하였다(P<.05). 셋째, EMR 인증제 추진 산업계 관점 목적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의 모형설명력은 28.6%로 나타났고 회귀분석모형은 유의하였다(P<.05). EMR 인증제의 시행에 따라 의료기관 종사자들은 국민, 의료기관, 산업계 관점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향후 EMR 인증의 이점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종사자들의 시스템 기능 인식을 높이고 품질의 질을 강화하고, 시스템 이용자의 상호연계성 증강 방안 정비를 위한 정부와 의료기관의 노력이 기울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employees at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hich have passed the certific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s, regarding the objectives of the EMR certification program.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industry. Data collection spanned from August 1 to October 31, 2022, involving responses from 1,187 employees across 11 or more accredited hospitals. The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mea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cheffé's analys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from the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The results revealed that from the public's perspective, the highest recognition was for “enhanced information security in medical information leading to the prevention of personal data breaches and security incidents” (t=-3.827, p<.01).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institutions, the highest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cognition was for “improved clinical decision support such as medication warnings and effective history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enabling safer and higher quality medical services” (f=-1.612). From the industrial perspective, there was high recognition for “the capability to meet market quality demands due to national recognition of EMR system quality standards” (f=-3.154, p<.01).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the objectives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 explained 27.4% of the variance for the public perspective, 26.9% for the medical institution perspective, and 28.6% for the industrial perspective, with all models being significant (P<.05).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EMR certification system, medical institution employees positively perceived i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ublic, medical institutions, and the industry.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enhancing system functionality awareness among employees, improving quality, and government and medical institutions should work together to enhance user interoperability of the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고찰 및 제언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태극권 건강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 대학 교양수업 교수자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습자의 수업 태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병원간호사에서 소방공무원으로의 이직 의도
-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대심도 Shield TBM 터널의 IoT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