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이용수 159
- 영문명
- Effect of Injection Safety Mobile Application for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정수정(Su Jeong Jeong) 김경미(Kyung Mi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6호, 201~2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에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안전주사실무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안전주사실무에 대한 지식, 수행자신감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49명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27일부터 12월 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안전주사실무 애플리케이션은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실험군은 안전주사실무 교육용 인쇄물 자료와 안전주사실무 애플리케이션으로, 대조군은 안전주사실무 교육용 인쇄물 자료로 두 군 모두 7일간 자가학습을 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집단간 동질성은 t-test, χ2 test, Mann-Whitney U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의 사전·사후 차이는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안전주사실무 지식(t=3.07, p=.004)과 수행자신감(t=3.53,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군은 안전주사실무 애플리케이션 교육후 지식(t=2.20, p=.034)과 수행자신감(t=3.08, p=.003)의 점수의 차이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주사실무 애플리케이션이 간호대학생의 안전주사실무 지식과 수행자신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간호대학생의 안전주사실무에 대한 교육 매체로써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중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injection safety by applying an injection safety education program using a mobile application to nursing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49 second-yea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C provinc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printed materials on injection safety and the mobile applic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printed materials only. Both groups were allowed to self-study for seven day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using a t-test, χ2 test, Mann-Whitney U test, and Fisher’s exact test, and pre-and post-test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with an independent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knowledge of injection safety (t=3.07, p=.004) and performance confidence (t=3.53, p=.001)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scores of knowledge (t=2.20, p=.034) and performance confidence (t=3.08, p=.003)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injection safety application was effectively improved nursing students’ injection safety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ubstantial evidence for the use of applications as an educational medium for nursing students’ injection safety practic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태극권 건강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 대학 교양수업 교수자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습자의 수업 태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병원간호사에서 소방공무원으로의 이직 의도
-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대심도 Shield TBM 터널의 IoT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