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ild Safeguarding Policy Practice in Residential Child Car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현안나(An Na Hyun) 김영미(Young Mi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6호, 41~6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 기관의「아동에게 안전한 기관 만들기」사업을 수행한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을 이해하고, 참여자들이 인식한 사업의 영향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22년도 사업 수행기관인 B 지역 아동양육시설과 공동생활가정의 아동안전보호담당자 6명과 초등학교 4학년 이상 아동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개인 인터뷰를 통해 질적자료를 수집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4개 영역의 11개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첫째, ‘안전한 집’은 이 사업의 지향점으로 아동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보호해 주는 생활공간이었다. 둘째, 시설의 물리적 환경과 보호대상 아동의 특성, 시설 밖 · 온라인 환경은 안전보호정책 실천에 영향을 주는 ‘아동안전 위험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셋째, 아동생활시설에서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 영역에는 ‘함께하는 안전보호 이행점검’, ‘아동 참여 중심의 활동’, ‘실천을 촉진한 사업지원’과 ‘실행 장애요인과 미흡했던 점’이 범주로 드러났다. 넷째,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으로 인한 변화’로 참여자들은 ‘기관 안전문화 증진’, ‘종사자의 안전보호역량 강화’, ‘아동의 안전권리증진’을 보고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호아동을 위한 생활시설에서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적용과 확산을 위한 실천적 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child safeguarding policy practice in children's residential care engaged in “Creating Safe Institutions for Children” project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project as perceived by participa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6 child safety protection officers and 10 children in 4th grade and above from children’s residential centers and group homes in B area that carried out the project in 2022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analysis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11 themes in 4 areas. First, ‘Safe Home’ was the goal of this project and was a living space that provided emotional stability and protection to children. Seco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facilit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care, the environment outside the facility and online have also become ‘child safety risk factors’ that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child safeguarding policy. Third, in the area of 'experience in child safeguarding policy practice', categories such as 'safety protection monitoring together', 'activities centered on child participation', 'project support that promotes practice', and 'implementation obstacles and limitations' were revealed. Fourth, as ‘changes resul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child safeguarding policies,’ participants reported ‘promotion of institutional safety culture,’ ‘strengthening safeguarding competency of workers,’ and ‘promotion of children’s safety righ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and task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for the application and spread of child safeguarding policy in residential centers and group homes for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태극권 건강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 대학 교양수업 교수자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습자의 수업 태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병원간호사에서 소방공무원으로의 이직 의도
-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대심도 Shield TBM 터널의 IoT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