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이용수 64

영문명
Strategies to improve health literacy : dissemination of lifestyle medicine through online universities and religious facilitie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신경희(Kyung Hee Shin) 조상윤(Sang Yun Cho)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6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건강소양은 21세기의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민의 건강소양을 강화하는 것은 국민 개개인의 건강과 웰네스를 향상시킬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격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건강 불평등 문제 및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폭증하고 있는 의료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유력한 해법이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건강소양에 관한 연구가 미진하며, 특히 성인의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실질적 방안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21세기의 질병이라 불리는 만성질환을 예방, 치료하기 위한 근본 해법으로 등장한 라이프스타일의학은 건강소양의 지식과 기술을 이미 체계화하고 있으므로, 이를 보급할 수 있는 경로가 확보된다면 국민 건강소양 증진 사업이 신속히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건강소양의 정의와 의의, 라이프스타일의학의 등장 배경과 효과를 검토한 후, 라이프스타일의학을 중심으로 국민 건강소양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경로들을 탐색하여 온라인대학과 종교시설을 유력한 경로로 제안하였다. 건강소양 교육은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되어야 하므로 정규 교육기관, 사회복지시설, 종교시설, 직장 등이 모두 건강소양 교육과 실천의 현장이 될 수 있다. 특히 온라인대학은 그 목적과 교육 콘텐트 개발 역량, 운영 시스템 등 여러 면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곳이다. 종교시설 역시 건강소양 교육은 물론, 지역사회 상호돌봄의 중심으로서 중대한 기여를 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이다.

영문 초록

Health literac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in the 21st century. Strengthening people's health literacy is the only and most powerful way to not only improve the health and wellness of each individual, but also to solve the problem of health inequality caused by social and economic disparities and the problem of rapidly increasing medical costs as the population ages. However, research on health literacy is still insufficient in Korea, and in particula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health literacy in adults. Lifestyle medicine, which has emerged as a fundamental solution to prevent and treat chronic diseases, which are called diseases of the 21st century, has already systematized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of health literacy, so if a route to disseminate this is secured, projects to promote national health literacy can be carried out quickly.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and significance of health literacy an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lifestyle medicine and its effects, then explores specific routes for implementing national health literacy education centered on lifestyle medicine, with online universities and religious facilities as the promising routes proposed. Since health literacy education must be conducted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social welfare facilities, religious facilities, workplaces, etc. can all serve as sites for health literacy education and practice. In particular, online universities are expected to play the most central role in many aspects, including their purpose, capability for content development, and operating system. Religious facilities are also social capital that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as a center of health literacy education and mutual care in regional comm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건강소양으로서의 라이프스타일의학
Ⅳ. 건강소양 보급 전략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경희(Kyung Hee Shin),조상윤(Sang Yun Cho). (2024).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안전문화연구, (), 1-16

MLA

신경희(Kyung Hee Shin),조상윤(Sang Yun Cho).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안전문화연구, (2024):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