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3
- 영문명
-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n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Adult Learner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장영미(Young Mi Ja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6호, 215~22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25세 이상의 간호대학생 156명으로,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4.10점으로 높은 수준이었고, 하위요인 중 인터넷활용이 4.49점으로 가장 높았고, 참여성은 3.44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업 성취도는 3.62점, 대학생활 적응은 3.75점으로 중 이상이었다. 간호학과 성인학습자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학업성취도(r=.51, p<.001), 대학생활 적응(r=.42, p<.001)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학업성취도와 대학생활 적응(r=.53, p<.001)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 중 대학진학동기(β =.15, p =.024)와 미디어 리터러시(β =.16, p <.039) 그리고 학업성취도(β =.49, p<.001)가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37%이며,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고, 성인학습자들의 진로 지도가 충분히 이루어져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학교 차원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of adult learners majoring in nursing to college adjustment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college adjus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23 and a total of 156 adult learn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media literacy of the participants was at a high level, with a score of 4.10. Among the sub-factors, internet usage scored the highest at 4.49, while participation was the lowest at 3.44. Academic achievement was rated at 3.62, and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was moderately high at 3.75. The media literacy of nursing department adult learn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r=.51, p<.001) and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r=.42, p<.001). Additional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r=.53, p<.001).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among adult learners in the nursing department revealed tha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motivation for university enrollment (β =.15, p =.024), media literacy (β =.16, p <.039), and academic achievement (β =.49, p<.001) had significant influenc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37%, with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to enhance adult learners' adaptation to college adjustment, to education to develop media literacy skills must be provided. Adequate career guidance for adult learners should also be provided, and school-wide efforts should be made to elevate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태극권 건강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 대학 교양수업 교수자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습자의 수업 태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병원간호사에서 소방공무원으로의 이직 의도
-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대심도 Shield TBM 터널의 IoT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