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49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ab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조한진(Han Jin Jo) 김태훈(Tae Hoon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6호, 171~18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국내 연구실에서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분야에서는 안전 분위기 조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 분위기의 역할, 성과 등을 확인하기에 앞서 안전 분위기의 구성개념에 대한 정의와 하위 영역을 확립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연구실 안전 분위기와 관련 변인 간의 연구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측정도구의 하위영역 및 문항에 대하여 초안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내용타당도 조사,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하여 측정도구를 타당화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활동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를 타당화하였으며,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안전 관련 변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는 총 4개 영역, 19문항으로 초안이 도출되었으며,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총 16문항을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4개 영역, 12문항으로 수렴되었다. 이후 본 조사를 통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측정도구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 관련 다양한 변인과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는 연구실 운영방침, 연구실 안전규정, 연구실 안전교육, 구성원 간 의사소통의 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2문항으로 개발되었다. 안전리더십, 안전지식, 안전태도, 안전행동 등의 안전 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연구실 안전 관련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연구 활성화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accidents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in domestic research labs, and in order to prevent them, the safety field is emphasizing the creation of a safe climate. Therefore, in this study, before confirming the role and performance of safety climate, we establish the definition and sub-factor of the concept of safety climate and develop a tool to measure it. Through this, we hope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research on lab safety climate and related variables. Through previous research, a draft of the sub-factors and questions of the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and the measurement tool was validated through an expert content validity survey,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eopl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the measurement tool was validat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secur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afety-related variables was conducted. The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 was drafted with a total of 4 areas and 19 questions, and a total of 16 questions were selected as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and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4 sub factor and 12 questions were converged. Afterward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this survey, the measurement tool was found to be valid, and there was a correlation with various safety related variables. The lab safety climate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four sub-factor : lab operation policy, lab safety regulations, lab safety educ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and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12 questions. The correlation between safety related variables such as safety leadership, safety knowledge, safety attitude, and safety behavi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o it can be used in future lab safety related research and is expected to revitaliz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태극권 건강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 대학 교양수업 교수자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습자의 수업 태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병원간호사에서 소방공무원으로의 이직 의도
-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대심도 Shield TBM 터널의 IoT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