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이용수 235
- 영문명
-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Interprofessional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권려원(Ryeo Won Kwon) 홍주영(Ju Young Hong) 이정화(Jeong Hwa Lee)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6호, 241~25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질적 향상과 다양한 임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K시 소재 간호학과 3, 4학년 재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2023년 8월 29일부터 2023년 10월 23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안전역량은 PSCSE, 전문직 간 태도는 IPAS-K 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역량은 5점 만점에 평균 4.04±0.53 점, 전문직 간 태도는 4.32±0.61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역량 및 전문직 간 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환자안전교육 경험(t=3.509, p=.001)에 차이가 있었다. 전문직 간 태도는 환자안전역량 중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 .716, p<.001).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간 태도에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자안전태도(β=.424 p<.001), 환자안전기술(β=.377 p<.001)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6%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자안전교육프로그램 및 전문직 간 협력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patient safety competencies and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mong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safety education and developing various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ugust 29, 2023 to October 23, 2023, targeting 142 3rd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in K City. The PSCSE tool was used for patient safety competency, and the IPAS-K tool was used for interprofessional attitu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The subjects' patient safety competency scored an average of 4.04±0.53 out of 5, and interprofessional attitudes scored an average of 4.32±0.61 out of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rofessional attitudes according to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t=3.509, p=.001). Interprofessional Attitud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competency(r= .716, p<.001). Factors affecting interprofessional attitudes were attitude of patient safety(β=.424 p<.001), skill of patient safety(β=.377 p<.001) and explained 56% of interprofessional attitud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programs and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apabilities and interprofessional attitud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태극권 건강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 대학 교양수업 교수자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습자의 수업 태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병원간호사에서 소방공무원으로의 이직 의도
-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대심도 Shield TBM 터널의 IoT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