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이용수 187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KOSHA-MS at Construction Sit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양우(Yang Woo Lee) 이준원(Joon Won Lee) 이익형(Ik Hyung Lee) 유희복(Hee Bok Yu) 김범수(Beom Su Kim)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6호, 123~13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부에서는 사망 등 중대재해 감축을 목적으로 각종 정책 및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에도 건설업의 사망사고 발생은 전체 산업의 53%를 차지할 정도로 다발하고 있다. 이에 건설현장 사고 예방체계 구축의 중심인 KOSHA-MS의 효과적인 접근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건설 20개 현장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및 안전관리자 40명의 인터뷰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인적요인 4가지와 작업요인 2가지를 독립변수로 구성하였고, KOSHA-MS를 종속변수로 구성하였다. 건설현장 직원 및 근로자 총 151명을 대상으로 2023년 11월 1일부터 2023년 11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설문 항목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적요인에서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관리자의 역할이, 작업요인에서는 위험작업이 KOSHA-MS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KOSHA-MS의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관리자의 역할과 위험작업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diverse policies and systems by the government aimed at mitigating severe disasters such as deaths, the occurrence of fatal incidents with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emains alarmingly high, comprising 53% of the industry as a whole. Consequently, this research endeavor was undertaken with the aim of identifying an efficacious approach for KOSHA-MS(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Management System), the pivotal component of the construction site accident prevention system, to enhance its efficacy and effectiveness.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prised of four human factors and two occupational factors. These variables were constructed based on interviews with fort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managers, as well as safety managers, from twenty construction sites operated by S Construction.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was also conducted. The dependent variable, on the other hand, was the configuration of KOSHA-MS. A survey encompassing a total of 151 construction employees and workers was conducted between 1, November, 2023, and 21, November, 2023. The gathered data underwent statistical analysis utilizing the SPSS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the survey items had good validity and reliability. Additionally, the role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management supervisor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human factors, while hazardous work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occupational factor impacting KOSHA-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ffective managerial roles and the management of hazardous work take part in a crucial role in the practical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of KOSHA-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태극권 건강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 대학 교양수업 교수자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습자의 수업 태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병원간호사에서 소방공무원으로의 이직 의도
-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대심도 Shield TBM 터널의 IoT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