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8

영문명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정광재(Kwang Jae Chung) 장길상(Gil Sang Jang) 박창권(Chang Kwon Park)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6호, 67~8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2년 기준,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한 외국인 근로자는 8만 4천 명을 넘어섰으며 2023년에는 고용허가 쿼터가 11만 명 규모로 확대되었다. 이들 외국인 근로자들이 근무하는 곳은 중소 영세기업 중심의 제조업 현장과 건설업 현장, 농 · 어업 등 국내 근로자들이 기피하는 현장으로 저출산 · 고령화에 따른 산업현장 인력난 해소를 위해 정부에서도 외국인 근로자 유입의 정상화와 관련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는 대부분 생산 현장에 근무함에 따라 우리나라 근로자에 비하여 조직에 대한 책임감, 직무 몰입 수준 향상의 기대치가 낮고 직장 내 신뢰관계 형성을 장려하는 것도 언어 소통의 장벽 및 문화적응 등의 사유로 인해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방안의 주요 요소인 조직 신뢰, 상사 신뢰, 직무 몰입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장에서도 파악되어야 할 필요성이 적지 않다고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 수준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직무 몰입도의 매개 효과, 직속 상사의 신뢰에 대한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외국인 고용 사업장의 근로환경 개선 및 안전보건 확보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고용된 대한민국 내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6차 근로환경 조사결과 중 다양한 업종에서 종사하는 288명의 외국인 근로자 응답 설문을 분석함으로써 조직 신뢰, 조직몰입, 상사 신뢰, 근로환경 만족도 간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적인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에 대한 신뢰가 전반적인 근로환경 만족도 향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조직 신뢰 변수는 조직몰입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매개변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조직몰입이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했으며, 조직몰입은 조직 신뢰와 근로환경 만족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국인 근로자의 직속 상사에 대한 신뢰는 조직 신뢰와 조직몰입의 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국인 근로자들 사이의 조직 신뢰의 역학관계와 이것이 직무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함의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사업주나 권한을 가진 책임자가 외국인 근로자들 사이에서 조직 신뢰와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를 강구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안전문화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필수요소인 안전행동, 안전리더십 등이 노동 집약적이며 외국인 근로자를 다수 고용한 사업장에서도 발현될 것이며 이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이해의 확대와 지원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영문 초록

As of 2022, the number of migrant workers entering the Korea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has surpassed 84,000, with the employment permit quota expanding to 110,000 individuals in 2023. These migrant workers mainly find employment in sectors typically shunned by domestic laborers, such as manufactur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construction, agriculture, and fisheries.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measures to mitigate the labor shortage in these industrial sectors due to a declining birth rate and an aging population, with a concerted effort to normalize the influx of foreign workers through policy support. Given that a substantial portion of foreign workers occupies roles in production settings, they often exhibit lower expectations regarding organizational responsibility and job engagement compared to their Korean workers. Language communication barriers and cultural adaptation issues further complicate the establishment of trust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Consequently, there exists a compelling need to comprehend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trust, trust in superiors, and job engagement—significant components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on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even in workplaces that employ foreign workers. This study seeks to enhance the working conditions and ensur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foreign workers by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job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influence of trust to their supervis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grant workers' organizational trus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offer practical insights for business preparations in their workplace. This study analyzed responses from 288 migrant workers collected through the 6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trust, trust in supervis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The findings revealed that migrant workers' trust in their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s their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Additionally, organizational trust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trust in immediate supervisors strength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and commitment. These findings provide essential insights into the dynamics of organizational trust among migrant workers and its implications for job satisfaction and engagemen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trategies for employers and managers to enhance organizational trust and commitment among migrant workers.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afety behaviors and leadership in workplaces that employ a significant number of migrant workers, emphasizing the need for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in these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광재(Kwang Jae Chung),장길상(Gil Sang Jang),박창권(Chang Kwon Park). (2024).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67-82

MLA

정광재(Kwang Jae Chung),장길상(Gil Sang Jang),박창권(Chang Kwon Park).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4): 67-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