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72

영문명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Safety Culture Scal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cusing on 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y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문영주(Young Joo Moo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6호, 27~4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종합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복지기관은 다른 유형의 사회복지조직에 비해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 결과, 사회복지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은 물론 안전한 조직문화 조성에 대한 요구가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수준을 살펴볼 수 있는 안전문화 척도를 제안하고, 그 타당도의 근거를 제시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사회복지기관(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회수된 설문 1,260부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안전활동, 팀워크, 교육·훈련, 정책·시스템, 공정문화, 리더십, 인식·태도의 7요인 52문항으로 구성된 안전문화 측정도구는 구성타당도가 확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안전문화 척도의 합성신뢰도는 .7이상, 평균분산추출값은 .5 이상으로 나타나 수렴타당도 역시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는 개별 기관의 안전문화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여 대안을 마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에 관심 있는 후속 연구자들에게도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at provide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 respond more sensitively to environmental changes than other typ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not onl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but also creating a saf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afety culture scale to examine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provide evidence for its valid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mail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rformed on the 1,260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the safety culture scale, which consists of 52 questions on 7 factors: safety activities, teamwork, education/training, policy/system, fair culture, leadership, and perception/attitude, was found to have secured construct validity. Second, the composite reliability of the safety culture scale was above .7, a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AVE) value was above .5, showing that convergent validity was secured. The safety culture scal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monitor the level of safety culture of individual institutions, identify areas requiring improvement, and prepare alternativ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follow-up researchers regarding the safety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영주(Young Joo Moon). (2024).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 27-40

MLA

문영주(Young Joo Moon).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2024): 2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