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72
- 영문명
- The Effect of safety support from prime companies on safety behavior level of workers at partner workplac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culture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백승수(Seung Su Paik) 장길상(Gil Sang Jang) 박창권(Chang Kwon Park)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6호, 185~20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7~2021년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중 40%가 협력사업장이며, 그 중 추락 · 끼임 · 부딪힘 등 기본 안전수칙 준수로 예방 가능한 사고가 전체의 62.6%(2021년 기준)이다. 따라서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안전문화 정착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 조성과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로서 2021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한 「2021년도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데이터는 건설 · 제조 · 서비스업 7,308개소 중 제조업 협력사업장 739개소를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자료는 SPSS 통계패키지(ver. 21)를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협력사업장은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가 91개소 12.3%였으며, 산업안전보건 전담부서를 갖추고 있는 경우가 94개소 13.9%로 대체로 산업안전보건체계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와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원청의 안전지원은 협력 사업장의 안전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세부적으로는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협력사업장 경영진의 리더십은 부분매개작용이 있으며, 안전소통과 교육 및 제도는 완전매개작용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원청사업장의 적극적인 안전지원은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활성화 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속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이 향상되어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협력사업장은 일반적으로 원청에 비해 안전능력이 부족하므로, 원청의 안전지원을 통해 협력사업장의 안전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한 안전문화 정착으로 소속 근로자의 불안전한행동 제어를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40% of fatal accident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between 2017 and 2021 were at partner workplaces, and 62.6% of all accidents (as of 2021) were preventable by following basic safety rules, such as falling, getting caught, or collid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prime companies’ safety support on the safety culture creation and safety behavior of workers in partner workplaces as a way to establish a safety culture in partner workplac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safety support from prime companies on safety behavior level of workers at partner workplaces.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2021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ata. The sample for the study is 739 manufacturing partner workplac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21).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were labor unions in 91 places and 13.9% in 94 places with departments dedicated to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indicating that the establishment of a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system was generally insufficien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rime companies' safety support on the safety culture of partner workplaces and the safety behavior of their workers.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afety support from prime compan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safety culture at partner workplaces. Leadership of management appear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afety support from prime companies and safety behavior level at partner workplaces. Safety communication and education·systems appear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safety support from prime companies and safety behavior level at partner workplaces. According to this study, active safety support from the prime companies can revitalize the safety culture of the partner workplaces, thereby improving the level of safety behavior of workers to prevent accidents. Since partner workplaces generally lack safety capabilities compared to the prime companies, they can spread the safety culture of partner workplaces through safety support from the prime companies, and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by controlling the unsafe behavior of workers by establishing a safety cul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강소양 향상을 위한 전략
- 중국 노인 레저스포츠 안전의식과 안전조치에 대한 현황조사연구
- 태극권 건강원리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건설현장의 KOSHA-MS 영향요인 연구
- 대학 교양수업 교수자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습자의 수업 태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과 전문직 간 태도
- 간호대학생을 위한 안전주사실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남자간호사의 병원간호사에서 소방공무원으로의 이직 의도
- 연구실 안전 분위기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생활시설의 아동안전보호정책 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시행 목적에 대한 인식
- 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시뮬레이션과 메타버스와의 관계 연구
- 대심도 Shield TBM 터널의 IoT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간호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학업성취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원청의 안전지원이 협력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신뢰가 근로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해양경찰공무원의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