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이용수 85
- 영문명
- Analysis of Maker Competencies in Dietary Life Units of Practical Arts Textbook under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애(KyoungA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71~9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을 통해 메이커 역량이 얼마나 함양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실과 식생활교육을 통해 메이커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해 보완할 점을 탐색하고자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식생활 관련 성취기준별로 5, 6학년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6개 메이커 역량군(통합적 사고, 협업, 메이킹 마인드, 인간 중심, 문제 발견, 메이킹 수행)과 하위역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는 통합적 사고 역량군과 메이킹 수행 역량군이 5학년은 각각 100%와 54.8%, 6학년은 각각 54.2%와 61.9%로 나타나 가장 많이 반영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메이킹 마인드 역량군이 5, 6학년 각각 50%와 37.5%, 협업 역량군이 5, 6학년 각각 33.3%와 33.3% 반영되었다. 문제발견 역량군은 5학년은 50% 반영된데 반해 6학년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고, 인간 중심 역량군은 5, 6학년 모두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둘째, 성취기준[6실02-01], [6실02-04], [6실02-09]와 같이 이론 학습의 성취기준 단원에서 특히 통합적 사고 역량군이 많이 반영되었으며, 성취기준 [6실02-02], [6실02-10]과 같은 음식 만들기를 포함하는 성취기준 단원에서는 메이킹 수행 역량군과 메이킹 마인드 역량군이 많이 반영되었다. 또한 협업 역량군의 공유와 의사소통 역량도 대부분의 단원에 반영되어 있었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6개 메이커 역량군 중 인간 중심 역량군을 제외한 5개의 메이커 역량군을 함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영 비율이 미흡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았던 메이커 역량군과 하위역량들에 대해서도 관련 역량을 반영할 수 있는 식생활 학습내용이나 활동을 추가하거나 보완한다면 더 많은 메이커 역량이 실과 식생활교육을 통해 함양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 메이커 중심 학습을 반영하여 초등 식생활교육을 운영할 때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을 구성하고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to which maker competencies can be cultivated by learning the dietary life units of fifth and sixth practical arts textbooks, including areas for improvement in cultivating maker competencies in dietary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six maker competency groups (integrated thinking, collaboration, making mind, human-centered, problem discovery, and making practice) and their sub-competencies as they appear in these units. The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dietary life units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based o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both the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group and the making practice competency were found in 100% and 54.8% of the 5th-grade textbooks and 54.2% and 61.9% of the 6th-grade textbooks, respectively. The making mind competency group was present in 50% of 5th-grade textbooks and 37.5% of 6th-grade textbooks, while the collaboration competency group appeared in 33.3% of 5th-grade textbooks and 50.0% of 6th-grade textbooks. The problem discovery competency group featured in 50% of the 5th-grade textbooks but was entirely absent in the 6th-grade textbooks. Furthermore, the human-centered competency group was not reflected in either the 5th or 6th grade textbooks.
Second, the integrated thinking competency group featured prominently in the achievement criteria units focused on theoretical learning, such as [6Practiacl Arts 02-01], [6Practiacl Arts 02-04], and [6Practiacl Arts 02-09]. Furthermore, the making practice and making mind competency groups were predominantly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criteria units involving food making, such as [6Practiacl Arts 02-02] and [6Practiacl Arts 02-10]. In addition, the sharing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of the collaboration competency group were also reflected across most units.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by learning the dietary life units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students successfully cultivated five of the six maker competency groups, excluding the human-centered competency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목차
-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판권
- 한국실과교육학회 논문 투고 규정
-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 실과 교과의 의생활 중심 메이커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