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이용수 102
- 영문명
- Exploring th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Maker Education: By Applying Photovoice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주혁(Ju-hyuk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263~29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메이커 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메이커 교육을 경험한 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그들이 느낀 감정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절차는 Latz(2018)가 제안한 파악(identification), 모집(invitation), 교육(education), 기록(documentation), 서술(narration), 관념화(ideation), 발표(presentation), 확증(confirmation)의 8단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학생이 직접 찍은 사진, 포토보이스 글쓰기, 면담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는 코딩, 유목화, 주제 발견의 3단계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결과 메이커 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은 기대, 긴장, 분노, 피로, 만족으로 나타났다. 각 감정에 담긴 의미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기대는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한 설렘’, 긴장은 ‘실패와 부상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분노는 ‘부상 또는 반복되는 실패에 대한 내적 귀인’, 피로는 ‘정신적·신체적 한계에 봉착’, 만족은 ‘작품 완성 직후부터 밀려오는 행복함’이라는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학교 공간에서 메이커 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들의 감정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는 진단적 기능 뿐 아니라, 메이커 교육이 전세계적인 교육 혁신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학교 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교육 정책 형성의 차원에까지 영향이 확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aker education. To this end, the photovoic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a class of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undergone maker education. The specific research procedures proposed by Latz (2018) were followed, including eight steps—identification, invitation, education, documentation, narration, ideation, presentation, and confirm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photos taken by students, photo-voice writing, and interviews and subsequently analyzed in three stages: coding, classification, and topic discovery.
Data analysis revealed a wide range of emotion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include anticipation, tension, anger, fatigue, and satisfaction. Examining the meaning of each emotion in detail, anticipation is characterized as 'excitement about something unfamiliar', tension as 'vague fear of failure and injury', anger as 'internal attribution to injury or repeated failure', and fatigue as 'Encountering mental and physical limitations'. Furthermore, satisfaction emerged from the theme of 'the happiness that comes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the work'.
These findings not only serve a diagnostic purpose for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emotion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aker education within everyday school spaces but also provide insights for its effective application to school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current scenario of growing global interest in maker education as an innovative educational method. The potential impacts of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extend to the realm of education policy form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목차
-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판권
- 한국실과교육학회 논문 투고 규정
-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 실과 교과의 의생활 중심 메이커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의과대학에서 의공학 융합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고차원적 사고 유형 과제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생성형 AI 피드백의 비교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