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960
- 영문명
-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Edtech Utilized Classes and its Ap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광렬(Gwang-ryeol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377~3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를 수업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이 가지는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에듀테크 기업의 제품을 공교육을 적용하기 위해 수행한 실증 사업에 참여하는 교사들이었으며 실증 과정에 대한 만족도, 적절성 그리고 수업 적용 단계, 중요 요소, 교사의 역할, 변화 여부, 학생 참여도, 개선점 등의 문항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원하는 에듀테크를 적용할 교과와 수업 단계를 선택하여 실증을 진행하는 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적절성에 대한 응답은 매우 긍정적이였다.
둘째, 에듀테크 교구나 앱을 수업에 활용하는 이유는 흥미로운 상호작용이 많다는 이유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자신의 에듀테크 적용 단계에서는 수업 전후보다 수업 과정에 적용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향후에는 학습 평가 및 피드백 단계와 수업 후 복습 및 학습자료 제공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최근의 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디지털 전환과 효율적인 에듀테크 적용 수업을 위해서는 교사 및 교육 전문가의 에듀테크 개발 참여 방안과 에듀테크의 다양한 접근과 관련된 콘텐츠 개발과 실증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가 관련된 후속 연구에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edtech in school classrooms. The subjects comprised teachers participating in a demonstration project aimed at applying products from edtech companies to public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aspect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demonstration process, appropriateness, the stage of applying edtech in class,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the role of the teacher, observed changes, student participation, and areas needing improvement. Teachers' responses to related question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s regarding satisfaction and appropriateness of the process for selecting the subjects and the class stages for applying the Edutech products and conducting the verification proc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Second, the abundance of engaging interactions emerged as the primary motivation behind incorporating edtech materials or apps in classrooms.
Third, teachers preferred to integrate Edutech during the class process itself rather than before or after the class. Moreover, they indicated a future preference for using it for learning evaluation and feedback, post-class review, and providing the learning materials.
Lately, there has been much anticipation around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efficient edtech-powered classes in educational settings. To this end, continued research is crucial, exploring how teachers and education exper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edtech development and identify effective approaches and verification methods for implementing various edtech solutions in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목차
-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판권
- 한국실과교육학회 논문 투고 규정
-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 실과 교과의 의생활 중심 메이커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의과대학에서 의공학 융합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고차원적 사고 유형 과제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생성형 AI 피드백의 비교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