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7

영문명
A study on Aurinasian culture and clothing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미경(Mee-Kyung Chu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241~26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을 탐색함으로써 의생활 교육의 인문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와 복식,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기의 복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는 문헌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는 석기의 발달을 기준으로 올도완, 아슐리안, 무스테리안 문화로 발전하였다. 복식의 경우, 의복은 호모에렉투스의 허리덮개, 네안데르탈인의 망토, 엉성하게 상하의를 갖춘 정도였으며, 네안데르탈인이 인체와 모피의 안쪽에 채색장식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신구는 호모사피엔스가 타조알 구슬, 조개목걸이 등을 사회적 상징으로 착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리나시안 문화는 후기구석기의 첫 번째 시기로, 4만 3,000년~2만 4,000년 전에 주로 서유럽에서 시베리아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문화는 발달된 석기와 골기가 나타하며, 쇼베 동굴벽화, 최초의 비너스와 플룻, 사자인간과 같은 예술품이 등장하는 문화 혁신의 시기였다. 셋째, 오리나시안의 복식은 남녀 모두 가죽을 기본으로 채색, 프린지, 구슬장식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은 풀오버셔츠와 바지, 여성은 기본형의 원피스 형태로 착용되었다. 장신구는 상아로 만든 펜던트, 구슬, 반지와 동물의 뼈나 조개껍질로 만든 목걸이 등이었다. 장신구는 미적 기능과 함께 집단의 소속, 지위와 부 등을 나타내는 사회적 상징으로서 표현적 기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오리나시안기는 단순한 의복에 장식을 더한 복식개념으로의 전환기로서, 복식이 소속과 지위, 부 등을 표현하는 사회적 상징물로 확고히 자리하는 시기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복식의 표현적 기능의 원류이자 사례로서 의생활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그라베티안, 막달레니앙기의 복식에 관한 연구가 후속되길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lothing education by exploring Aurinasian culture and its clothing practices. The content focuses on culture and clothing in the pre-Upper Paleolithic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Arinasian culture, and Arinasian clothing.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pre-Upper Paleolithic cultures evolved into Oldowan, Acheulean, and Mousterian cultures based on stone tool development. In the case of clothing, Homo erectus used a waist cover, while Neanderthals wore capes and loose top and bottom garments. The evidence suggests that Neanderthals began coloring the human body and interior with fur covering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Homo sapiens wore accessories such as ostrich egg beads and shell necklaces as social symbols. Second, the Aurinacian culture, dating between 43,000 and 24,000 years ago, marked the initial stage of the Upper Paleolithic and spanned mainly from Western Europe to Siberia. This period was marked by cultural innovation, featuring advanced stone and bone tools as well as exquisite artworks like the Chauvet Cave paintings, the first Venus and flute, and the Lion Man. Third, Arinasian clothing is presumed to be based on leather for both men and women, with coloring, fringe, and bead decoration. Men wore pullover shirts and pants, while women wore simple dresses. Jewelry items included pendants, beads, ivory rings, and necklaces made of animal teeth or shells. Accessories were found to have not only aesthetic value but also served as expressive symbols representing group membership, social status, and wealth.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urinacia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ransitioning toward a clothing concept that introduced decorations to simple clothes. Moreover, this era marked the establishment of clothing as a social symbol, reflecting not only belonging but also status and wealth.

목차

Ⅰ. 서론
Ⅱ.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와 복식
Ⅲ.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
Ⅳ.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기의 복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경(Mee-Kyung Chung). (2023).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6 (4), 241-261

MLA

정미경(Mee-Kyung Chung).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6.4(2023): 241-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