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35
- 영문명
- A study on Aurinasian culture and clothing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경(Mee-Kyung 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241~2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을 탐색함으로써 의생활 교육의 인문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내용은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와 복식,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기의 복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는 문헌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는 석기의 발달을 기준으로 올도완, 아슐리안, 무스테리안 문화로 발전하였다. 복식의 경우, 의복은 호모에렉투스의 허리덮개, 네안데르탈인의 망토, 엉성하게 상하의를 갖춘 정도였으며, 네안데르탈인이 인체와 모피의 안쪽에 채색장식을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신구는 호모사피엔스가 타조알 구슬, 조개목걸이 등을 사회적 상징으로 착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리나시안 문화는 후기구석기의 첫 번째 시기로, 4만 3,000년~2만 4,000년 전에 주로 서유럽에서 시베리아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문화는 발달된 석기와 골기가 나타하며, 쇼베 동굴벽화, 최초의 비너스와 플룻, 사자인간과 같은 예술품이 등장하는 문화 혁신의 시기였다.
셋째, 오리나시안의 복식은 남녀 모두 가죽을 기본으로 채색, 프린지, 구슬장식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남성은 풀오버셔츠와 바지, 여성은 기본형의 원피스 형태로 착용되었다. 장신구는 상아로 만든 펜던트, 구슬, 반지와 동물의 뼈나 조개껍질로 만든 목걸이 등이었다. 장신구는 미적 기능과 함께 집단의 소속, 지위와 부 등을 나타내는 사회적 상징으로서 표현적 기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오리나시안기는 단순한 의복에 장식을 더한 복식개념으로의 전환기로서, 복식이 소속과 지위, 부 등을 표현하는 사회적 상징물로 확고히 자리하는 시기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복식의 표현적 기능의 원류이자 사례로서 의생활교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그라베티안, 막달레니앙기의 복식에 관한 연구가 후속되길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lothing education by exploring Aurinasian culture and its clothing practices. The content focuses on culture and clothing in the pre-Upper Paleolithic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Arinasian culture, and Arinasian clothing.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pre-Upper Paleolithic cultures evolved into Oldowan, Acheulean, and Mousterian cultures based on stone tool development. In the case of clothing, Homo erectus used a waist cover, while Neanderthals wore capes and loose top and bottom garments. The evidence suggests that Neanderthals began coloring the human body and interior with fur covering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Homo sapiens wore accessories such as ostrich egg beads and shell necklaces as social symbols.
Second, the Aurinacian culture, dating between 43,000 and 24,000 years ago, marked the initial stage of the Upper Paleolithic and spanned mainly from Western Europe to Siberia. This period was marked by cultural innovation, featuring advanced stone and bone tools as well as exquisite artworks like the Chauvet Cave paintings, the first Venus and flute, and the Lion Man.
Third, Arinasian clothing is presumed to be based on leather for both men and women, with coloring, fringe, and bead decoration. Men wore pullover shirts and pants, while women wore simple dresses. Jewelry items included pendants, beads, ivory rings, and necklaces made of animal teeth or shells. Accessories were found to have not only aesthetic value but also served as expressive symbols representing group membership, social status, and wealth.
The study suggests that the Aurinacia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ransitioning toward a clothing concept that introduced decorations to simple clothes. Moreover, this era marked the establishment of clothing as a social symbol, reflecting not only belonging but also status and wealth.
목차
Ⅰ. 서론
Ⅱ. 후기구석기 이전의 문화와 복식
Ⅲ.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
Ⅳ.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기의 복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목차
-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판권
- 한국실과교육학회 논문 투고 규정
-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 실과 교과의 의생활 중심 메이커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의과대학에서 의공학 융합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고차원적 사고 유형 과제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생성형 AI 피드백의 비교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