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이용수 34

영문명
Analyzing Differences in Pre-service Teachers'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Using Latent Class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건남(Gun-Nam Lee)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297~31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잠재집단분석을 통해서 교원양성대학 재학 중인 대학생들의 개인 특성, 대학입학 특성, 대학생활 특성 관련 변인에 대한 잠재집단분석을 통해서 집단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형화된 집단이 집단별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차이 분석을 통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 탐색적으로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한 주요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집단은 ‘집단 1’ ‘학교생활에 적극적인 저학년 집단’, ‘집단 2’는 ‘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 ‘집단 3’은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고학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집단 2(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은 대학 진학과 관련하여 다른 집단에 비해 만족하지 못하고 대학 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학생이 많았고, 또한 학교 내 다른 학우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만족하는 학생보다 보통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다른 집단에 비해 많았다. 셋째, 집단별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집단 1(학교생활에 적극적인 저학년 집단)’은 핚업성취도가 낮은 집단으로 ‘집단 2(낮은 진학 만족과 학교생활에 적극적이지 않은 집단)’은 교육만족도와 진로발달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ed latent class analysis to categorize university students in a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analysis involved variable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university entrance characteristics, and university life characteristics. Sub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were explored to draw implicat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 analysis identified three groups. Cohort 1 was 'active in school life, low grade', 'Cohort 2' was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and ‘'Cohort 3’ was upper-grade students preparing for the teacher employment exam. Second, students in ‘Cohort 2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reported higher dissatisfaction and disengagement with their university experience than other cohorts. However, compared to other cohorts, they were more likely to express satisfaction with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students on campus and perceive these relationships as average. Thir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by cohort, ‘Cohort 1 (active in school life, low grade)’ emerged as a group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Cohort 2 (low satisfaction with college admission and not active in school life)’ emerged as a group with the lowest level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건남(Gun-Nam Lee). (2023).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6 (4), 297-317

MLA

이건남(Gun-Nam Lee).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6.4(2023): 297-3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