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이용수 74
- 영문명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a Maker-based Unstructured Problem-Solving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류미(Mi Ryu) 송현순(Hyunsoon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349~37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메이킹 활동으로 제시된 열린 문제를 아날로그 재료와 도구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초등학생들은 어떤 경험을 하고 그 배움의 의미는 무엇을 학습하는가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모둠별로 재료나 구조의 제한 없이 1m를 이동하는 수송수단을 만드는 활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3명의 학생들과 지도교사이다. 자료수집은 학생 면담, 학생작품, 담임 교사의 관찰 일지, 교사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면담내용은 전사하고 범주화한 후 의미를 해석하였다. 결과는 문제해결과정과 열린 문제 메이커 활동에서의 경험의 의미화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의 의미를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선택과 의사결정이 가능한 비구조적 활동에서 다양한 문제를 만나면서 모두 다른 모습의 수송수단을 만났고 문제해결을 경험했다. 둘째, 다양한 기호와의 마주침은 개방성, 복잡성, 지속성을 가졌다. 셋째, 배움의 욕망을 표출하며 넷째, 신체(몸)으로 사유하고 세계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론을 정리하면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은 학생들의 선택과 사유, 의사소통을 촉진하며, 실패를 통한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배움은 목적이 아닌 여정을 중시하며, 학습자의 차이와 경험이 새로운 배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learning outcomes of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aged in making activities using analog materials and tools to solve open-ended problems. The students worked in groups to design a vehicle capable of traveling a distance of 1 meter with no restrictions on materials or structure. The study involved 23 students and their teacher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student interviews, student artwork, classroom teacher observation journals, and teacher interviews. Transcribed interviews were categorized and interpreted for significance. The findings are categorized into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the experiential semantics of open problem-maker activities.
The subsequent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maker-based, unstructured problem-solving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ly, students encountered diverse transportation forms and engaged in problem-solving within unstructured activities that allowed for decision-making and choice. Secondly, their encounters with various symbols exhibited openness, complexity, realism, and continuity. Thirdly, students expressed a strong desire for learning through their engagement in tactile thinking and interaction with their environment.
In conclusion, unstructured problem-solving activities foster student choice, reasoning, and communication and offer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failure. Moreover, learning is viewed as a continuous journey rather than a destination, with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s and experiences significantly shaping new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목차
-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판권
- 한국실과교육학회 논문 투고 규정
-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 실과 교과의 의생활 중심 메이커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