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10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Elementary STEAM in Korea: Focusing o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기용(Ki-Yong Lee) 이건남(Gun-Nam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97~1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STEAM(융합인재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초등 STEAM 관련 석사 및 박사 학위논문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내용은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초등 STEAM이라는 키워드를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 논문은 총 190편이었다. 분석 기준은 논문 특성(발표연도, 발표대학, 발표학위), 연구목적 및 교과, 연구 대상 및 방법이었으며,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Excel 프로그램 활용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2022년 발표된 STEAM 석사 및 박사 학위논문 특성별 연구동향 분석 결과, 먼저 발표연도별로는 2013년 29편, 2017년 28편, 2014년 및 2015년 각각 26편 등의 순이었다. 또한, 발표대학별로는 경인교육대학교(47편), 서울교육대학교(27편), 부산교육대학교(18편) 등의 순이었으며, 발표학위별로는 석사학위논문이 177편, 박사학위논문 13편이었다. 둘째, 연구목적별로는 영향 및 효과(86편), 개발(35편), 개발 및 적용(34편), 분석(18편) 등의 순이었으며, 교과별로는 과학 교과(79편), STEAM(38편), 예체능(29편), 실과(15편), 수학(12편) 등의 순이었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학생(145편), 문헌(26편), 교사(19편) 등의 순이었으며, 연구방법별로는 양적 연구(139편), 문헌 연구(32편), 질적 연구(12편) 등의 순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론을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교과,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 기준을 세분화한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i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n elementary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published between 2012, when STEAM gained prominence, and 2022. To that end, four research contents were identified. A total of 190 thes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after searching the “elementary STEAM” keyword in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database.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d thesis characteristics (publishing year, publishing university, and intended degree), research purposes and subjects, and research objects and methods. Research methods involv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by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utilizing Excel. The specific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publishing years, 29 theses were published in 2013, 28 in 2017, and 26 each in 2014 and 2015. Regarding publishing universities, th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ook the lead with 47 theses, followed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7) and the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In terms of degrees intended for publication, master’s degrees comprised the majority of publications with 177 theses, while only 13 were doctoral degrees. Second, regarding research purposes, 86 theses were published on influence and effect, 35 on development, 34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18 on analysis. Concerning subjects, 79 theses focused on science, followed by 38 on STEAM, 29 on arts and sports, 15 on practical studies, and 12 on mathematics. Third, regarding research objects, 145 theses focused on students, 26 on works of literature, and 19 on teachers. In terms of methods, 139 theses employed quantitative research, 32 were literature reviews, and 12 were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subdividing the analysis criteria in terms of research purposes, subjects, and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목차
-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판권
- 한국실과교육학회 논문 투고 규정
-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 실과 교과의 의생활 중심 메이커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의과대학에서 의공학 융합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고차원적 사고 유형 과제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생성형 AI 피드백의 비교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