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이용수 589
- 영문명
- Content Analysis of the Career Linkage Education in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현진(Hyun-Jin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319~3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된 진로연계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이의 개선과 운영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단계를 중심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각 교과 교육과정,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문서를 문헌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진로연계교육 정의는 진로교육을 보다 선명히 반영하여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학교급 간 연계뿐 아니라 진로교육 강화에 관한 내용이 더 부각 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 일부 교과목을 제외하고 다수의 교과목에 진로연계교육 내용 반영이 부족하였다. 과학 교과는 ‘과학과 나의 진로’를 별도의 영역(단원)으로 설정하였다. 국어 교과는 성취기준의 고려사항에 진로연계교육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였다. 하지만, 영어, 미술, 음악 교과는 교수·학습의 방향에서만 표면적으로 진로연계교육을 언급하였고, 성취기준에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수학, 사회, 체육 교과는 진로연계교육을 거의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각 교과에 반영된 진로연계교육 내용은 주로 진로탐색 및 진로교육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넷째, 진로연계교육에서 학교급 간 연계에 관한 내용은 각 교과목보다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활동 영역에서 운영하도록 설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진로연계교육의 개선과 후속 연구에 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career linkage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draws implications for its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To this end,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vised curriculum overview, subject-specific curriculums, and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career education, the definition of career linkage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ummary requires revision to more clearly reflect career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place a greater emphasis on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and fostering connections across school levels. Second, except for a few elementary school subjects, the majority lack sufficient reflection on career linkage education content. The science curriculum includes a separate section (unit) titled ‘Science and My Career’ whil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cludes specific career-linked education methods guided by consider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the English, Art, and Music curriculum briefly deals with career linkage education only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without reflecting it as an achievement standard.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barely reflect career linkage education. Third, reflecting the career linkage education contents in each elementary school subject primarily emphasized strengthen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education. Fourth, the content of the career linkage education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school levels was specified to be implemented in the autonomous activity section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urriculum.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a greater emphasis on career education within the concept of career linkage education in future revisions. Moreover, th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developing effective career linkage education class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schools. Therefore, the study recommends improving career linkage education and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목차
-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36권 제4호 판권
- 한국실과교육학회 논문 투고 규정
-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 실과 교과의 의생활 중심 메이커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