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용수 3

영문명
A Critical View on Speech A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유혜령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20권 2호, 107~12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peech act, a basic unit of verbal communication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present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teach and learn speech act most efficient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ist up and systemati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peech acts and pattern expressions. At first, this study addressed the necessity of distinguishing speech acts in syntactic level from that in discourse level. Speech acts in syntactic level had direct functional relations with pattern expressions. But in case of speech acts in discourse level, speech acts in syntactic level made semantic formulas and then formed discourses. Secondly, this study showed the correlative complexion between speech act and pattern expressions and found problems in the research of the speech act. Finally, this study proposed to list up and systemati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peech acts and pattern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e was to analysis speech acts of every pattern expressions with corpus in Korean textbook and learner's dictionary, the other was to complement the corpus analysis output with discourse completion test. The output of these process would be useful for teaching speech act in Korean language teaching.

목차

1. 서론
2. 화행의 개념과 층위
3. 화행과 문형의 대응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혜령. (2009).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교육, 20 (2), 107-127

MLA

유혜령.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어교육, 20.2(2009): 107-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