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블랙 코미디로 읽는 <변강쇠가>
이용수 131
- 영문명
- Reading Byeongangsoi-ga as a Black Comedy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김동욱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49호, 63~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블랙 코미디로 <변강쇠가>를 해석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변강쇠가>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유랑민’이나 ‘향촌 사회’와 같은 계층 갈등의 맥락에서, 또는 여성주의와 같은 이념의 층위에서 <변강쇠가>를 바라보는 관점이 연구사의 주류를 차지했다. 그러나 본고는 ‘이 모든 사설이 다 웃자고 한 일’이라는 박동진본의 마지막 문장에 주목하여, ‘웃음’을 핵심 키워드로 삼고 블랙 코미디라는 장르 개념으로 <변강쇠가>를 읽고자 했다. 서구 문학에서 나타난 블랙 유머의 양상을 총괄적으로 살핀 패트릭 오닐은 블랙 유머의 표현 방식을 풍자, 아이러니, 그로테스크, 부조리, 그리고 패러디의 다섯 가지로 정리했다. 본고는 패트릭 오닐의 정리를 참고하여, 그로테스크, 부조리, 아이러니, 패러디, 풍자의 다섯 가지 키워드로 <변강쇠가>의 블랙 코미디적 특징을 읽어냈다. 그 결과 변강쇠가 장승 죽음 하는 장면, 뎁득이가 시체를 갈이질 하는 장면, 강쇠와 옹녀의 인물 형상, 뎁득이의 인물 형상, 장승의 모습 등에 대해서 선행연구와는 작지만 차별화된 해석이 가능해졌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eeks to interpret Byeongangsoi-ga as a black comedy. Previous studies on Byeongangsoi-ga have been dominated by perspectives that view it in the context of class conflicts such as ‘vagabonds’ or ‘village society’ or in the context of ideologies such as feminism.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the last sentence of Park Dong-jin’s editorial, ‘All these words were done for a laugh’, and attempts to read Byeongangsoi-ga with the genre concept of black comedy, with ‘laugh’ as the keyword. Patrick O’Neill, in his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black humor in Western literature, summarizes the five modes of expression of black humor: satire, irony, grotesque, absurdity, and parody. This paper uses Patrick O’Neill’s theorem to read the black comedic features of Byeongangsoi-ga through the five keywords of grotesque, absurdity, irony, parody, and satir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scene of Byeongangsoi’s death, the scene of DepDeuk’s grinding of the corpse, the characterization of Byeongangsoi and Ongnyeo, the characterization of DepDeuk, and the appearance of Jangseung differently from previous studies.
목차
I. 서론
II. 블랙 코미디의 미학적 속성
III. <변강쇠가>의 블랙 코미디적 특징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