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채팽윤(蔡彭胤) 문집의 이본 검토 -필사본『폐추』(弊帚)를 중심으로-
이용수 141
- 영문명
- On the different version of Chae, Paengyun’s Literary colllection -Especially on Manuscript PyeChu, the Abandoned Broom-
- 발행기관
- 국문학회
- 저자명
- 백승호
- 간행물 정보
- 『국문학연구』제49호, 153~18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새 자료 필사본 폐추를 소개하고, 필사본이 목판본으로 간행될 때 산삭된 작품의 특징적 면모를 정리한 글이다. 2023년도 수원화성박물관 전시에서 채팽윤 문집 폐추가 공개되었다. 폐추 18권은 희암집 29권에 비해 권수는 적지만 더 많은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필사본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될 때 산삭된 작품의 주요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처가, 인척과의 일상적인 수창이 다수 산삭되었다. 채팽윤의 문학 활동은 장인, 처남과 함께 이루어진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작품이 산삭되었다. 그 결과 목판본에는 작품이 분절적으로 수록되었기 때문에 창작의 맥락과 문학 활동의 배경이 잘 이해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폐추는 채팽윤 문학 활동의 맥락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둘째, 탁남 문인과 무신란에 연루된 문인과의 친교가 축소 수록되었다. 채팽윤은 기사환국이 일어난 해 문과에 합격하고 독서당에 선발되었는데, 이때 함께 선발된 문인들은 대부분 후대 탁남으로 분류되었던 문인이었다. 채팽윤 당대에는 이들과 깊은 교분을 나누었고 이것이 작품으로 증명되지만, 목판본에서는 이것이 대폭 축소 수록되었다. 그의 종손 채제공이 채팽윤을 청남으로 분류하면서 영조 연간 정치 상황을 고려하여 교유 양상을 축소 수록했다.
셋째, 채팽윤이 어린 제자들을 자상하게 교육하며 훗날 국가적 인재로 육성하는 모습이 축소 수록되었다. 그는 갑술환국 이후 불리해진 정치적 상황에서 후학 양성에 공을 들였다. 그 가운데 채제공의 스승 오광운이 있었다. 폐추에는 오광운의 아명이 실려 있고, 아들처럼 그를 대하는 각별한 정이 표출되어 있다. 필사본에는 다른 어린 제자들에 관한 작품도 수록되었는데, 목판본에는 이 작품들이 대폭 산삭되었고 오광운도 성인 시절 이름과 자로 바꾸어 지칭하였다. 어린 제자들의 시 학습과 일상을 표현한 반복적인 작품이 다수 산삭되었고 오광운 중심으로 채팽윤 문하생 관련 작품이 정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troduces the new manuscript Pyechu and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work that were omitted when it was published from a manuscript to a woodblock version. At the 2023 exhibition of SuwonHwaseong museum, the manuscript of Chae Paengyun’s collection of works was revealed. The woodblock version Huiamjib is in 29 volumes, while the manuscript version PyeChu is in 18 volumes. Although the number of manuscripts is small, the number of works is greater than the woodblock version. The main trends in works deleted when published from manuscript to woodblock edition are as follows.
First, many daily literary exchanges with in-laws were deleted. His literary activities were often carried out together with his father-in-law and brothers-in-law. Most of these works were deleted, and when published, they were included sporadically without any context. Because of this, the background of literary activities is not well understood. The manuscripts provide data to specifically understand the spatial context of his literary activities.
Second, the aspects of friendship with the same party writers involved in Tagnam or Musinlan were deleted or reduced. Chae passed the civil exam the year of Gisahwangug occurred and was selected for the Dogseodang. Most of the writers who were selected at this time were writers who were classified as Tagnam. He had a deep relationship with them, and this friendship is evidenced by manuscripts. In the woodblock version, their friendship is greatly reduced. This meant that his grandson categorized his grandfather as an Cheongnam and reduced the level of interaction during the political situ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ird, Chae’s aspect to educate his young students with care and nurture them into national talents in the future has been reduced. He put effort into nurturing younger students in an unfavorable political situation after Gabsulhwangug. Among those students was Chae Jegong’s teacher Oh Gwangun. PyeChu contains Oh’s name from his childhood, and expresses the special affection Chae had for him as a son. In the woodblock version, the works about Oh and other young disciples are greatly reduced, and Oh also appears by name as an adult. Repetitive works on poetry learning and daily life were eliminated, and works related to Chae’s disciples were organized, focusing on Chae Jegong’s teacher Oh.
목차
Ⅰ. 들어가며
Ⅱ.『희암집』과 『폐추』 이해를 위한 기초적 논의
Ⅲ. 『폐추』에서 목판본『희암집』으로 간행 시 산삭된 시문의 양상
Ⅳ.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