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금오신화와 세속적 욕망 담론

이용수 52

영문명
Geumo Shinwha (金鰲新話) and Secular Desires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임주탁 명수현 최은희 최일범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9호, 181~224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시습(金時習)의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작가의 창작 의도에 대한 논란이 분분한 가운데서도 한국 최초의 소설로 자리매김하며 국어과 교과서 작품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여전히 숱한 논란 가운데 있는 『금오신화』의 창작 맥락과 창작 의도를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새로이 헤아려 보고자 한 것이다. 구우(瞿佑)의 『전등신화(剪燈新話)』와 아사이 료이(浅井了意)의 『오토기보코(伽婢子)』와의 비교 연구 또한 일찍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두 전기소설(傳奇小說)의 창작 맥락이 주자학(朱子學)의 관학(官學)으로서 지위가 공고해진 시대 상황과 맞물려 있었다는 사실과 전기소설의 발생 맥락이 과거제도의 출현과 맞물려 있었다는 사실 등은 그리 주목되지 않았다. 당나라 시대 성행한 전기소설의 발생은, 지역 사회의 지배층을 형성하고 있는 사족(士族)이 세계 경영에 참여할 길을 열었던 동시에 부귀공명과 같은 세속적 욕망을 성취할 수 있도록 허용한 과거제도의 도입과 궤를 같이한다. 세속적 욕망을 추구하되 그 욕망을 스스로 통어할 수 있는 인간, 그것이 과거제도를 통해 선발하고자 했던 인재상이었다. 전기소설은 세속적 욕망과 그 통어의 길을 다양하게 제시하는 구실을 했다. 전기소설에 널리 쓰인 근체(近體) 시사(詩詞)는 물론, 유가뿐 아니라 도가와 불가의 가르침은 욕망을 통어하고 절제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들이었다. 하지만 청교도적 엄숙주의와 같은 도덕률을 지향한 주자학이 관학으로 자리하면서 세속적 욕망을 허용하되 스스로 통어하도록 했던 당나라 시대 지식인의 일반적인 인식은 점차 스러져 갔다. 『전등신화』와『오토기보코』는 모두 주자학이 각 나라의 관학으로서 지위를 확립해 간 시기에 창작되었다. 과거제도를 유지하면서 일체의 세속적 욕망을 허용하지 않을 수는 없는 일이다. 그보다는 전기소설처럼 세속적 욕망을 추구하되 스스로 절제하고 통어하는 길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편이 현실적인 효용성이 높을 수 있다. 세속적 욕망은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없고, 차단해서도 안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두 작가의 전기소설 창작은 주자학(朱子學)의 전일화(全一化)에 따라 세속적 욕망 담론 자체마저 차단하는 시대 풍조에 맞서 전기소설의 현실적 효용성을 보여주는 의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런 점에서 김시습의 『금오신화』 창작 또한 두 전기소설이 중국과 일본에서 창작된 맥락과 흡사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선행 논의에서 특히 욕망 문제를 중심에 둔 독법과 주자학의 담론에 대한 대항 담론의 성격에 주목한 논의를 통합적으로 수렴하여 『금오신화』가 사족들의 세속적 욕망을 아름답게 추구하고 궁극에는 자기 통어를 통해 그 욕망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의도에서 창작되었다는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이 참임을 증명하는 방향에서 작품을 새로이 읽어본 것이다.

영문 초록

Despite controversy over its genre characteristics and the author’s creative intentions, Kim Si-seup (金時習)’s Geumo Shinhwa has widely been used as a textbook for the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secondary school. This study aims to newly understand the creative context and intentions of the work, which is still in the midst of many controversies, from a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comparative studies between Que Koo (瞿佑)’s Jiandeng Xinhua (剪燈神話) and Asai Ryoi (浅井了意)’s Otogiboko (伽婢子) were also actively conducted from an early age. However, it was not noted that the creative context of the two books was in line with the situation of the era in which their status as governmental studies of the Cheng-Zhu school’s Confucianism was solidified, and that the context of the appearance of Chuanqi (Chinese) or Jeongi (Korean) (傳奇) genre was in lin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The appearance of the narrative genre during the Tang Dynasty is in lin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which allowed all the members of the shi or sa (士) class, the ruling class of the local community, to participate in the world-wide state and at the same time allowed them to achieve secular desires such as wealth and glory. A human being who pursued secular desires but could control those desires by him/herself, that was an image of talent who wanted to be selected through the examination system. The narrative genre served as samples to present various ways to accomplish secular desires beautifully and control, even give up them.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the old and new poetry and song often used in the genre, were devices designed for hero and heroine to control and restrain secular desires by themselves. However, as the Cheng-Zhu school’s Neo-Confucianism, which aimed at the morality similar to that of the Puritanism, became a government school, the general perception of intellectuals during the Tang Dynasty, which allowed secular desires but made them control by themselves, gradually declined. Both two novels were created at a time when the Cheng-Zhu school’s Confucianism established its status as the central government school of each country. It is inevitable to allow all secular desires while maintaining the examination system. Rather, it may be more practical to pursue secular desires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but to show various ways to self-control themselves as pieces of the narrative genre suggests. This is because secular desires cannot and should not be fundamentally blocked. The creation of the works by the two authors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show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genre against the trend of blocking even the discourse of secular desires in accordance with the despotism of the Cheng-Zhu school’s Confucianism. In this regard, it could be seen that Kim Si-seup’s making Geumo Shinwha was also carried out in a similar context to the context in which the two books were issued in China and Japan. Thus, this study forms a hypothesis by integrating two previous readings; reading centered on the problem of desire and reading judging the work as a counter-discourse against the Cheng-Zhu school’s Confucianism, and tries to verify it true through reading the texts i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appearance of the genre.

목차

Ⅰ. 서론
Ⅱ. 전기소설과 과거제도, 그리고 주자학
Ⅲ. 세속적 욕망 담론의 양상
Ⅳ. 세속적 욕망 서사의 의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주탁,명수현,최은희,최일범. (2024).금오신화와 세속적 욕망 담론. 국문학연구, (), 181-224

MLA

임주탁,명수현,최은희,최일범. "금오신화와 세속적 욕망 담론." 국문학연구, (2024): 181-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