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튜브 한국어교육 채널의 콘텐츠 및 학습자 반응 분석 연구

이용수 49

영문명
Analysis of Contents and Learner Reaction to YouTube Korean Education Channel: A Case of Talk To Me In Korean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최지영 이수진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33권 4호, 405~43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videos preferred by learners on YouTube. In this study, the format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videos produced by TTMIK were examined and statistically verifi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learner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videos were mainly focused on ‘vocabulary/expression’ and ‘grammar’ in terms of content, and focused on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functions. Moreover, videos that can introduce learning strategies or build rapport to interact with learners have been actively produc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rmal aspect of contents, the most common content is a 7-minute recorded video in which one teacher appears and explains Korean vocabulary or expressions in English, with animation effects and English subtitles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 Among the videos produced for educational purposes, the learner’s response to the listening test was the most positive, and the more teachers participated, the more likely the learner would leave a comment. The results of this paper provide implications on how public channels such as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can create educational content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대상과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영,이수진. (2022).유튜브 한국어교육 채널의 콘텐츠 및 학습자 반응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33 (4), 405-436

MLA

최지영,이수진. "유튜브 한국어교육 채널의 콘텐츠 및 학습자 반응 분석 연구." 한국어교육, 33.4(2022): 405-4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