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해와 협력 그리고 지속가능성
이용수 5
- 영문명
- Understanding, Collegiality, and Sustainability: Utilizing Exploratory Practice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안재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3권 4호, 209~2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xploratory practice is an approach that stems from practitioner research, and it highlights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 education and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classroom by engaging everyone within the learning community (Allwright & Hanks, 2009). Exploratory practice asserts that teachers can develop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teaching environment when they research their own questions by using ordinary pedagogical activities as a research tool. This method has been proposed as a way of looking towards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out burdening teachers with extra workload to conduct research.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exploratory practice as an alternative wa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irst, it reviews the traditional approaches to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other practitioner research methods. Then, it explains the rise of exploratory practice and examines its principles in three major themes: understanding, collegiality, and sustainability. Lastly, the study closes by discussing the potential of utilizing exploratory practice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서의 실천가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3. 실천가 연구와 탐구적 실천
4. 탐구적 실천의 개념 및 중심 원리
5.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접근 방법으로서의 탐구적 실천과 한국어 교사교육에의 적용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사가 인식한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의 수업 저해 요인 연구
- 유튜브 한국어교육 채널의 콘텐츠 및 학습자 반응 분석 연구
- 독일어권 학습자 대상 처격조사 ‘-에/-에서’ 교육 방안 연구
- 역번역(Back Translation) 텍스트의 자가교정을 통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 연구
- 문화간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상호문화적 공손성 연구를 위한 이론적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메타버스 활용 수업 외 활동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평가의 구인 선정 연구
- 이해와 협력 그리고 지속가능성
- DEI 달성을 위한 초급 한국어 디지털 교과서 구축 방안
- 제2언어 한국어 정보구조 습득 연구
-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공손성 인식 연구
- 국가 주도 한국어교육 정책의 현황 분석
- 한국어 하이플렉스 수업에서의 온라인 학습 도구 활용 사례
-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의 핵심 역량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