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언어 한국어 정보구조 습득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L2 acquisition of Korean Information Structure: Focusing on the Production and Online Processing of Korean Dative construc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희 김현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3권 4호, 7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second language (L2) learners’ sensitivity to information structure in Korean sentence production and online processing. We conducted sentence completion and self-paced reading tasks with 32 Korean speakers and 25 highly proficient Japa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In the sentence production task, where participants read a context sentence and provided written continuations for sentence fragments containing a subject and a dative verb, the Korean speakers produced the preverbal complements according to information structure, whereas the L2 learners showed a strong predilection for canonical over noncanonical word order, regardless of information structure. In the self-paced reading task, where participants read Korean dative constructions whose word order was either consistent or inconsistent with information structure, only the Korean speakers, but not the L2 learners, slowed down when the word order was incongruent with information struc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information structure cues during the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Korean dative sentences remains a considerable challenge for L2 learners.
목차
1. 서론
2.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순과 정보구조의 관계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사가 인식한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의 수업 저해 요인 연구
- 유튜브 한국어교육 채널의 콘텐츠 및 학습자 반응 분석 연구
- 독일어권 학습자 대상 처격조사 ‘-에/-에서’ 교육 방안 연구
- 역번역(Back Translation) 텍스트의 자가교정을 통한 한국어 연결어미 교육 연구
- 문화간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상호문화적 공손성 연구를 위한 이론적 탐색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메타버스 활용 수업 외 활동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평가의 구인 선정 연구
- 이해와 협력 그리고 지속가능성
- DEI 달성을 위한 초급 한국어 디지털 교과서 구축 방안
- 제2언어 한국어 정보구조 습득 연구
-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공손성 인식 연구
- 국가 주도 한국어교육 정책의 현황 분석
- 한국어 하이플렉스 수업에서의 온라인 학습 도구 활용 사례
- 비원어민 한국어 교원의 핵심 역량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