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xtension of Educational Bases and the Respondence of Gasa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 Focused on Paryeoka and Oryunga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노규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615~6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가사의 주된 쟁점은 갈래에 있으며, 여기에는 여러 학설이 공존한다. 지금까지 제기된 갈래 논의를 종합하면, 서정·서사·희곡·교술 등의 성격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가사는 그만큼 다양성을 생명으로 하는 문학인 것이다. 이렇듯 가사의 갈래 성격이 복합적이고 포괄적이라고 보는 데에는 큰 이견이 없다. 다만, 여타 문학과의 변별성을 말할 때에는 특히 교술성을 통해 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저간의 사정이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가사의 이러한 교술 성격이 조선 후기에 극대화되는 지점에 이르러, 교본 성격으로까지 구체화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는 교육과 문학의 상호 작용을 확인해 주는 중요한 단서로써,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밀접한 관련성 속에 지어졌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을 규명하기 위해 <八域歌>와 <五倫歌>를 각기 인문지리서로 당대 최고의 교양 교본의 역할을 하였던 『擇里志』와 조선 유교의 핵심적 교양 교본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던 『小學』과 대비함으로써, 그 문헌적 관련성과 함께 교본성 가사의 조선 후기 교육적 기능과 문학적 형상화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are a variety of views about the genre of the Gasa. By all accounts discussed up to now, Gasa includes lyrics, epics, dramas and instructions. The Gasa also contains comprehensive literary aspects. Theorefore, the genre of the Gasa is composite, however it is especially instructive and that distinguishes the Gasa from any other form of literature.
This study has show that the instructive aspects of Gasa were largly used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y were developed into an educational manual. This combined education and literature and helped to increase the level of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Gyobongasa has shed new light on the educational influences of the Joseon Dynasty by comparing , and 「Taegliji」-the reigining and liberal areas in those days, and 「Sohag」- the main text book in Confucianism.
목차
1. 문제 제기
2. 교육 저변의 확대
3. 가사문학의 대응과 교본화
4. 마무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