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Travel and the Direction of Travel Litera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임경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9호, 367~3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은 유사 이래 여행을 꿈꾸고 감행해 온 여행자이다. 여행은 새로운 경험과 관련되고, 경험을 형상화하고자 하는 욕망은 기행문학을 낳았다. 기행 문학에 대한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긴 했지만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더구나 문학교육적 차원에서의 연구는 매우 일천한 편이다.
모든 사람들이 여행을 갈망하고 있고, 그것을 형상화하는 일이 매우 보편적이며, 언어, 경험, 성장을 화두로 삼고 있는 문학교육의 본질에 비추어 보면 여행문학 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은 본격적인 근대화 이전에 창작된 금강산 관련 기행문 몇 작품을 살펴보고, 오늘날 여행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반추해 보고, 문학교육적 차원에서 시사점과 방향을 찾고자 했다. 여행은 얄팍한 심미성에 빠지거나 특정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거나, 무비판적 답사 차원을 넘어서서 풍부한 감성적 능력, 자유로운 상상적 사유 능력, 반성과 대화적 사유 능력의 고양에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기행문학 교육의 현실을 보면 기행문학이 다루어진 비중, 학습 목표, 내용 등이 기행문학교육의 본질로부터 벗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설정을 분명히 하고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 글에서는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을 여행의 동기, 경험, 그것의 형상화(생산)와 재형상화(수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즉 여행의 동기나 목적에 대하여 숙고하도록 하고, 실존적 진정성(authenticity)을 추구하고 능동적이고 생산적인 여행이 되도록 해야 하며, 글쓰기를 기술 차원에서 접근하는 태도를 넘어서 대상과의 상호 교감과 대화를 확보하고, 대상을 깊이 있게 통찰하는 시간과 그것을 형상화하도록 하며, 기행문학의 수용은 독자가 작품의 뜻을 풀어 삶의 뜻을 찾아 가는 작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study to draw out the meaning of travel and the direction of travel literature education.
Human is traveler who dream and dare travel since the dawn of history. Travel experience is very significant to everyday life, so almost every learned person has been writing account of travels after taking a trip. Travel literature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contains human experience, language and development of human. Thus travel literature and education of travel literature are very important. But we could not satisfied with it. Travel literature about Mt. Geumgang in 19C give these implications ; fertile imaginary ability, emotional ability, self reflection ability, dialogical ability, critical ability etc.
This thesis examined the direction of travel literature education in motivation of travel, experience, figuration and refiguration of travel.
First, about motivation or object of travel. we need to make learners have awareness why travel. Learners must consider various motivation to escape modern mechanism as well as leisure or information dimension.
Second, it is problem that we make learner to experience what. Learners must seek existent genuineness(authenticity) of travel experience.
Third, it is problem how to configure travel experience. Learners must pass over attitude to approach in skill dimension.
Fourth, it is problem of reconfiguration. This is not limited in analyzing on constituent of travel literature. It means that reader realizes meaning of work and find meaning of life.
목차
1. 머리말
2. 제7차 교육과정의 기행문학 교육 현황과 문제점
3. 기행문의 몇 가지 유형과 여행의 의미: 금강산 기행문의 경우
4.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시대 수필문학의 콘텐츠 방안 시론
- 연암의 글을 활용한 논술력 신장 방안 연구
- ㄹ탈락 합성어 고찰
- 한글 번역본 구약 에스더의 응결성 연구
- 대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양상
- 국어 접속문의 시제 해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육 내용 연구
-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 여행의 의미와 기행문학 교육의 방향
- 어미 반복형태의 문법구성화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 및 추진 방향
- 문화교육과 고전시가의 맥락적 정보
- 한국어능력시험 중 표현 영역 평가에 대한 연구
- 글쓰기에서 독자의 의미와 기능
- 일인칭 소설에서 내포작가의 서술 행위와 소설교육
- 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韓國 漢字와 漢字語 敎育의 기초 연구
- 면접 화법의 교수-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 중세국어 ‘-/의’와 ‘-ㅅ’의 계층적 구조 고찰
- 조선 후기 교육 저변의 확대와 가사문학의 대응
- 논증 텍스트의 유형 특징에 대한 연구
- 논술문의 내용 전개 구조와 교육적 함의
- 관형격 구성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연계 교육 방안 연구
-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논증적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